소문에 대한 욕망, 죽음을 부르다

소문에 대한 욕망, 죽음을 부르다

입력 2010-07-31 00:00
업데이트 2010-07-3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재영 첫 장편소설 ‘스캔들’

미모의 여배우 신미아가 죽었다. 스스로 목을 맸다. 우울증에 시달려 힘들어했다는 지인들의 말이 뒤를 받쳤다. 복잡한 남자 관계, 불륜 등 사생활에 대한 추측과 소문은 그의 죽음에 대한 애도보다 더 강렬하고 집요했다. 인터넷 공간과 언론 매체 등에서 기사를 가장한 사생활 캐내기, 익명의 뒤에 숨은 집단 린치가 쏟아졌다.

이미지 확대
어디에선가 많이 본 풍경이다. 일종의 기시감이다. 연예인의 자살에 대한 무성한 소문, 연예인의 사생활에 대한 스토커적 관심은 때로는 자신의 욕망을 대리하기도 하고, 때로는 집단 폭력으로 몸을 뒤틀어 안도감을 준다.

하재영(31)의 첫 장편소설 ‘스캔들’(민음사 펴냄)은 이렇듯 우리가 늘상 듣고 보고 접하는 연예인 혹은 인기인과 그를 둘러싼 스캔들의 저변에 깔려 있는 시선의 폭력을 아프게 파헤치고 있다. 또한 그 폭력에 맞서는 방법으로 ‘솔직함’이라는 것이 얼마나 무기력한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가해자는 없고 오로지 피해자만 존재하는 모순의 상황에서 소설은 가해자의 실체를 향해 한 걸음씩 뚜벅뚜벅 걸어간다.

풀어가는 방식은 통속적인 일상 속의 한없는 ‘쿨함’이다. 일상의 권태로움에 빠진 무명 작가 ‘나’는 남편이 아닌 옛 연인과 모텔 침대 위에서 고교 동창 신미아의 자살 뉴스를 듣는다. ‘나’ 역시 불륜과 스캔들의 주인공이 될 수 있겠지만, 인기 연예인이 아닌 데다 솔직하게 발설하지만 않는다면 어느 누구의 손가락질도 비껴갈 수 있다. 모두 똑같지만 그 점만 신미아와 다르다. 신미아는 불필요하게 솔직했고, 백치미를 가진 유명 여배우였다. 그래서 스캔들 메이커가 됐고, 폭력의 시선에 고스란히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소설은 결론적으로 가해자가 먼 곳에 있지 않음을, 바로 내가 누군가의 가해자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상처는 준 사람은 모르는 거야. 받은 사람이 알지.”라고 말한 ‘나의 오빠’일 수도 있고, 비틀어진 욕망과 질투에 사로잡혀 ‘××가 ○○에게 안겨있더라, ××가 ○○와 함께 산부인과에 갔더라.’라는 사실-그러나 왜곡될 소지가 충분한-을 소문처럼 퍼뜨린 ‘과거의 나’일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하재영은 작가의 말을 통해 “통속의 시대를 사는 우리가 통속적이지 않을 수 있다면 그것은 또 다른 통속일 것”이라면서 “내가 쓰는 통속적인 소설이 당신들에게 가닿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7-31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