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세상, 망각의 자유 許하라

디지털 세상, 망각의 자유 許하라

입력 2011-07-09 00:00
업데이트 2011-07-0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잊혀질 권리】 빅토르 마이어 쇤베르거 지음 지식의 날개 펴냄



아날로그 세계에선 ‘시간’과 ‘망각’이 만병통치약으로 군림했다. 제아무리 고통스러운 기억도 시간이 지나면 잊혀지고 치유됐다. 그러나 디지털 세상으로 환경이 바뀌면서 만병통치약도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말았다.

영화 해리 포터 ‘혼혈왕자’ 편에서 덤블도어 교장이 머릿속 기억의 편린을 마법 지팡이로 끄집어 내던, 그 징그러운 장면을 기억하는가. 철없던 시절의 범죄 기록이 인터넷 속 예전 신문기사에는 고스란히 남아있고, 다른 이의 페이스북에 올라온 옛 애인과의 사진은 지우려야 지울 수 없다. 덤블도어의 지팡이처럼 언제 어디서든 불편한 기억들을 끄집어내고 조우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연습생 시절 ‘마이스페이스’에서 친구와 주고받은 한국 비하 발언이 뒤늦게 불거져 2PM에서 탈퇴한 박재범의 사례는 ‘모든 것을 기억’하는 디지털 기술의 위력을 실감케 한다.

빅토르 마이어 쇤베르거 옥스퍼드대 인터넷연구소 교수가 2009년 쓴 ‘잊혀질 권리’(구본권 옮김, 지식의날개 펴냄)는 디지털 환경에서 지워지지 않는 기록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책이다. 원제는 ‘Delete’다.

‘잊혀질 권리’는 소셜네트워크가 보편화되면서 디지털 시대의 화두로 급부상했다. ‘잊혀질 권리’의 핵심은 개인이 인터넷에 올린 글과 사진 등 정보들에 대한 통제권을 개인에게 귀속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유사 이래로 인류에게는 망각이 일반적이었고, 기억하는 것이 예외였다.”며 “하지만 디지털 기술과 전 지구적 네트워크 때문에 균형이 역전돼 망각은 예외로, 기억은 일반적인 게 됐다.”고 말한다.

저자는 아울러 인류 역사 속에서 기억과 망각이 갖는 의미의 변화를 살펴본 뒤 ‘완벽한 기억’이 왜 위험한지 설명한다. 디지털 세상의 완벽한 기억은 첫째, 총체적인 ‘감시사회’로 이끌어 “감시당하는 사람에게서 감시하는 사람에게로 권력을 이전”시킨다. 둘째, 인간의 의사결정에서 망각이 수행하는 중요한 기능을 무력화한다. 망각은 인간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수용하며 사회가 구성원을 용서할 수 있는 권한을 줘 사회가 변화에 열린 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디지털 기억이 이런 기능을 훼손시킨다는 것이다.

저자는 대안으로 디지털 정보 만료일을 주장한다. 사용자들이 디지털 정보를 입력할 때마다 망각일을 설정해 컴퓨터가 만료일에 도달한 파일을 삭제하게 함으로써 ‘지속되는 기억’에서 인간이 ‘통제하는 망각’으로 기본 값을 되돌리자는 것이다. 1만 3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07-09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