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인어공주 자매들의 잔혹한 사랑

여섯 인어공주 자매들의 잔혹한 사랑

입력 2011-07-09 00:00
업데이트 2011-07-0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름답고 음란한 김종호 첫 장편소설 ‘인어공주 이야기’



인어공주 이야기다. 아주 기괴하고도 낯선 인어공주, 그것도 한두 명이 아닌 무려 여섯 인어공주 자매들의 이야기다. 사랑을 위해 마녀와 위험한 거래를 서슴지 않는 것은 인어공주 이야기의 기본이다. 이들은 격정적 사랑에 늘 동반되곤 하는 죽음에 가로막힌다. 결국 사랑을 영원히 간직하기 위해 사내의 팔과 다리를 뜯어먹거나 밤만 계속 이어지도록 사내에게 환각의 풀을 씹도록 해야 한다.

김종호(41)는 자신의 첫 장편소설 ‘인어공주 이야기’(문학과지성 펴냄)를 ‘아름답고 음란한 책’이라고 일컬었다. 아름다움과 음란함은 대척점에 있는 개념이 아니라고 작가는 덧붙였다. 작품 속에서는 맏언니 인어공주 ‘파르반’의 입을 통해 “아름다운 것은 슬픈 것”이라고 말한다. ‘인어공주 이야기’는 일찍이 안데르센의 원작이 그랬듯, 슬프고 아름다운 잔혹 동화에 가깝다.

김종호의 문장은 우리네 사설조 형식을 빌렸건만 서사를 앞세운 문단의 익숙한 화법과는 거리가 멀다. 다분히 철학적 사변을 바닥에 깔아둔 채 몽롱하게 상상의 공간을 한껏 확장시킨다.

그 결과 그의 작품 안에서 신화와 역사, 설화와 전설, 시간과 공간, 국적과 역사 등 모든 경계는 하릴없이 무화되고 만다. 사람이 되고 싶은, 사랑을 이루고 싶은 발가벗은 욕망과 한계에 부닥치며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결핍, 그리고 상처의 심연만 덩그러니 남는다. 그러고 나서도 김종호는 “욕망해야 비로소 사람”이라고 말한다. 깊은 상처를 남길 것을 뻔히 알면서도 불을 욕망하는 부나비처럼, 사랑과 자유를 갈망하는 사람의 모습에 대한 참혹한 재현이다.

젊은, 그러나 이미 아내와 아이가 있는 어부를 사랑한 맏언니 파르반, 뭍을 두려워하며 바닷속 깊은 곳에 들어앉은 둘째 인어공주 ‘마누’, 시간의 흐름을 거스르거나 앞당기는 능력으로 자유를 열망하는 셋째 인어공주 ‘쿠두’ 등 소설 내내 입은 닫고 다섯 언니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막내 인어공주가 나온다.

소설은 인어공주로 시작했지만 인어공주 바깥으로 나아가 욕망과 무의식의 서사가 무변 무애로 자유롭게 펼쳐진다. 김종호는 이것을 ‘검은 소설’이라고 명명한다. ‘인어공주 이야기’는 안데르센의 작품 ‘인어공주’에 대한 전복은 아니다. 오히려 거기에 기대 그 이미지와 철학을 심화하고 무한 서사로 재창조했다. 화가 허남준(35)의 그로테스크한 그림이 곁들여져 인어공주들은 더욱 검은 심연의 공간 한복판에 있는 존재로 완성되며, 소설 또한 비로소 완결된다. 허남준은 김종호와 함께 ‘텍스트 실험집단 루’의 동인이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7-09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