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원 꽃과 나무들의 살림살이 이야기

수목원 꽃과 나무들의 살림살이 이야기

입력 2011-11-05 00:00
업데이트 2011-11-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천리포에서 보낸 나무편지】 고규홍 지음 아카이브 펴냄

매주 월요일 아침, 출근하자마자 노트북의 ‘우체통’을 열면 예외 없이 익숙한 제목의 편지 한 통이 와 있다. ‘솔숲에서 보내는 나무 편지’다. 솔숲은 보내는 이의 이메일 이름이다. 풀자면 ‘솔숲이 보낸, 나무와 그 안에 담긴 사람살이 이야기를 적은 편지’쯤 되겠다. 2000년 5월 8일부터 시작했다니, 12년 가까이 편지를 보낸 셈이다.

‘솔숲’의 주인공은 고규홍 나무 칼럼니스트다. 서울신문에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를 1년 넘게 연재하고 있는 바로 그이다. 그가 편지에 썼던 식물들, 보다 정확히는 충남 태안 천리포수목원의 꽃과 나무들이 전하는 이야기를 추린 에세이집이 ‘천리포에서 보낸 나무편지’(아카이브 펴냄)다. 서정미 넘치는 글 위로 부부 화가 김근희·이담이 그린 70여장의 그림이 보태지면서, 꽃그림 그려진 편지 같은 책이 됐다.

천리포수목원은 국제수목협회에서 ‘세계의 아름다운 수목원’이란 상찬을 아끼지 않은 곳이다.

2009년 첫선을 보인 이후 여태 10분의1 정도만 일반에 공개되고 있는 비밀의 정원이다. 12년 전 세상과 부대낀 저자가 일간지 기자 생활을 접은 뒤 처음 찾아든 곳이기도 하다.

책엔 수목원의 꽃과 나무들이 숨겨놓은 이야기들이 빼곡하다. 저자가 식물에 빠진 건지, 식물들이 저자의 꾐에 넘어온 건지 분간이 안 될 만큼 속살 같은 이야기들이다.

삼책참죽나무는 수목원의 명물로 꼽힌다. 겨우내 볼품없던 나무에서 빨간 새잎이 돋고, 점차 보랏빛으로, 노란색으로, 그리고 초록색으로 변한다. 다른 곳에서도 이 나무를 키우지만, 유독 천리포수목원에서만 그런 선명한 변화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왜일까. 저자는 천리포만(灣)의 하늘과 바람, 별이 만들어내는 힘 때문이라고 믿고 있다.

저자는 가만히 보고 있으면 꽃들이 말을 건다며 또 다른 세계를 열어 보인다. 꽃봉오리 하나에서 30~40개의 꽃송이가 피어나는 산수유, 치명적인 아름다움으로 네덜란드에 ‘튤립 공황’을 일으킨 튤립, 귀신을 부른다는 초령목, 똥나무라 불렸던 돈나무 등의 사연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꽃과 나무에 흠뻑 정이 들고 만다.

듬직하게 땅의 습기를 지켜주는 빈카, 수호초 등의 지피식물이나, 새·곤충들과 관계 맺으며 사는 식물들의 살림살이를 엿보다 보면 새삼 자연의 지혜와 신비로움에 감탄하게 된다.

책엔 90여종의 식물들이 등장한다. 저자는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자연을 아는 것보다 자연을 느끼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전해주고 싶었다.”고 했다. 식물에 다가서는 걸음이지만, 그 걸음의 끝자락은 더 평화롭고 아름답게 가꿔진 우리 삶에 닿아 있다는 얘기다. 1만 9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11-05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