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日 역사적 사건과 문화 각기 다른 시각으로 재조명

韓中日 역사적 사건과 문화 각기 다른 시각으로 재조명

입력 2012-06-02 00:00
업데이트 2012-06-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중일이 함께 쓴… 1·2】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지음/휴머니스트 펴냄

한·중·일 3국 간의 역사갈등 문제를 언급할 때 늘 등장하던 것이 독일 모델이었다. 주변국, 그러니까 프랑스나 폴란드 같은 주변 피해국들과 사전 조율해 역사교과서를 만들거나, 아예 공동으로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방식이다. 과거사 문제가 여전히 미해결 상태인 한·중·일 3국 간에도 이런 모델이 적용될 수 있을까.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1·2’(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는 가능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보는 쪽에 서 있다.

2001년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가 터지면서 한·중·일 역사학계는 맞서 싸울 게 아니라 대화하고 토론하자는 입장을 정했고 그에 따라 2002년 출범한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가 내놓은 근현대사 책이다. 2005년 ‘미래를 여는 역사’에 이은 두번째 작업이다. 한·중·일 3개국을 오가며 19차례의 회의를 거친 끝에 한국 측 10명, 중국 측 7명, 일본 측 5명의 학자가 집필에 참여해 완성했다.

책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1권이 국제관계 차원에서 근현대사를 다뤘다는 점과 2권에서는 민중 생활사 위주로 꾸몄다는 점이다. 해서 1권을 읽으면 남북분단으로 인해 북한에 막혀버려 섬나라처럼 살다 보니 멀어진 개념, 대륙의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가령 청산리전투의 경우 기존 서술은 한국인의 뛰어남에만 그친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청산리전투가 1차대전, 러시아혁명, 체코여단에까지 연결된다. 그리고 어쨌거나 이 시기 각국의 근대화작업이 본격화됐다는 점에서 2권에서는 헌법, 도시화, 가족, 교육 등 각종 제도와 실제 생활상에 대한 서술들이 줄을 잇는다. 식민지 근대화가 아니라 식민지적 근대화라는 점을 음미해볼 수 있다.

강의도 마련된다. 오는 20일, 27일 그리고 7월 5일 오후 7시 서울 마포구 동교동 가톨릭청년문화회관에서 이번 책에 집필진으로 참여한 신주백(연세대), 하종문(한신대), 김정인(춘천대) 교수가 각각 강연을 연다. 각권 2만 3000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6-02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