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침이 될 한 줄 名文

삶의 지침이 될 한 줄 名文

입력 2012-06-09 00:00
업데이트 2012-06-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기고 싶은 명문장】 박수밀·송원찬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사람은 누구나 문장 하나쯤은 갖고 산다? 백범 김구 선생은 금일아행적 수작후인정(今日我行跡 遂作後人程)이라는 구절을 하루에 세 번씩 낭송했다. ‘오늘 내가 남긴 자국이 마침내 뒷사람의 길이 된다.’는 뜻이다. 서산대사의 명언에 나오기도 한다. 광복 직후 어지러운 상황, 편을 갈라 싸울 때에도 늘 옳은 길의 편에 설 수 있었다.

이렇듯 삶의 지침으로 삼고 살아가는 한 문장의 힘은 크다. 구구절절 옳은 소리보다 한 줄 문장이 지닌 통찰이 오히려 폐부를 찌른다. 그렇기에 옛 선인들은 자신을 바로 세우기 위한 문장을 가슴 속에 품고 살았다고 한다. 한 문장 덕분에 자신을 다독일 수 있고 세파에 흔들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어떤 문장을 지니고 살아가고 있을까. 신간 ‘새기고 싶은 명문장’(박수밀·송원찬 지음, 웅진 지식하우스 펴냄)은 ‘당신의 가슴 속에는 한 문장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고전의 단단한 가르침’, 현대인들에게 귀감이 될 만한 내용들을 흥미진진하게 다루고 있다. 옛날에 살았던 사람들이 지침으로 여겼던 문장들을 지금에 사는 독자들에게 새삼 던지고 있는 것. 따라서 치열하게 살았던 선조들의 지혜들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단순히 명문만을 열거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 전후좌우의 맥락이나 원문장 전체를 함께 실어 사유의 폭을 넓히고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틱낫한은 말했다. 기적은 물 위를 걷는 것이 아니라 지금 대지를 밟고 있는 것이고 이 순간을 사는 것이라고. 어제라는 고통에 갇히고 내일이라는 두려움에 막혀 현재라는 선물을 발로 차버릴 수 없다. 과거에 연연하거나 날의 일을 미리부터 걱정해봐야 내 정신 건강만 해칠 뿐이다. 오늘을 열심히 살자.’(본문 141쪽) 1만 5000원.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2-06-09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