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운명은 벗어날 수 없는 미늘과 같다

인간의 운명은 벗어날 수 없는 미늘과 같다

입력 2012-06-09 00:00
업데이트 2012-06-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정효 소설 ‘미늘’ 펴내

안정효 작가
안정효 작가
‘하얀 전쟁’의 작가 안정효(71)가 1991년과 2000년에 쓴 두 중편을 묶고 다듬어 장편소설 ‘미늘’(나남 펴냄)을 냈다.

낚시 끝에 달려 고기가 물면 빠지지 않게 만든 미늘에 빗대 벗어날 수 없는 운명의 갈고리에 걸린 유부남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를 그렸다. 두 편의 미늘 이야기를 두 달에 걸쳐 고쳐 쓴 작가는 “당시 잡지에 연재되고 있어서 표현의 제약이 많았다. 큰 틀은 그대로 두고 내용을 추가해 분량이 3분의1 이상 늘어났다.”고 소개했다.

서구찬은 부모를 잃고 큰아버지에게 양자로 입적돼 백화점을 물려받았다. 하지만 우유부단하고 자신감이 부족한 그는 외부의 억압을 피해 낚시 도구를 챙겨 바다로 나갔다. 남도의 바닷가에서 만난 적극적인 여성 수미와 열애하며 일탈을 꿈꾸면서도 불완전한 양심 탓에 부인 재명에 대한 죄책감으로 괴로워한다. 결국 자기 변호와 변명, 자각, 자기 위안, 자학, 도피를 반복하면서 수미를 잃고 재명에게 비난을 들어도 반박 한번 못 하는 그는 짧은 삶에서 하나의 깨달음을 얻었다. “운명이란 결국 괴이하고 거창한 개념이 아니라 아주 작은 무슨 미끼를 삼키려다가 목구멍에 박히는 하나의 작은 미늘 돋은 바늘인지도 모르겠다.”(252쪽) 구찬은 다시 바닷가를 향한다.

1991년에 출간한 중편 ‘미늘’은 여기까지다. 2000년에 낸 중편 ‘미늘의 끝’은 그 후속작이다. 미늘에서 헤어나지 못했던 구찬은 결국 바다낚시를 하던 중 자살인지 사고인지 모를 죽음을 맞았다. 다시 만난 수미와 자신을 묵묵히 보필한 한 전무와 함께 간 바닷가에서였다. 이야기의 중심은 재명에게 옮겨 간다. 한 전무는 재명에게 구찬의 가정사를 들으며 구찬, 재명, 수미의 삼각관계를 종합하게 된다. 재명이 구찬의 백화점을 넘겨받고 “분노와 미움의 힘에 짓밟히지 않으면서도 살아가고 존재하는 길을 찾”(413쪽)는 새로운 삶도 조명한다.

인물들의 심리와 상처, 대화 등을 밀도 있게 그리고 소설에서 드물게 다루는 바다낚시를 정밀하게 묘사하면서 이야기를 숨가쁘게 몰아간다. 세심한 묘사는 작가가 추자도 푸랭이섬에서 낚시했을 때의 체험이 기반이 됐다고 했다. 작가와 30년 전 서울의 한 낚시방에서 만난 한광희 전무가 소설 속 한 전무의 모델이다. 구찬이 파도에 휩쓸려 사고를 당한 것도 한 전무와 친했던 낚시꾼의 사고가 바탕이 됐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6-09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