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베스트셀러, 마녀사냥

근대 베스트셀러, 마녀사냥

입력 2013-02-23 00:00
업데이트 2013-02-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녀 프레임/ 이택광 지음 자음과모음 펴냄

마녀사냥, 그러면 대개 다들 두 주먹 움켜쥐고 부르르 떤다. 중세 암흑기에서나 벌어질 법한 일들이 이 개명천지한 21세기에도 벌어져서야 되겠느냐고. ‘마녀 프레임’(이택광 지음, 자음과모음 펴냄)은 피식 웃는다. 그거 원래 중세가 아니라 근대와 함께 시작된 증상이라고. 개명천지한 21세기이기 때문에 당연히 마녀사냥이 벌어진다고. 오히려 중세에는 마법과 마녀를 자연스러운 일상의 하나로 받아들였다고. 더 나아가 중세엔 “마법은 과학적 인식에 기반을 둔 테크놀로지와 공존”했을 뿐 아니라 마법사는 “사랑의 묘약이나 주문 같은 것을 처방”하는 일에 당당히 종사했다고.

저자가 주목하는 지점은 마녀사냥의 발원 그 자체보다 대중적으로 마녀사냥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널리 퍼졌느냐다. 저자는 이런저런 역사적 흐름을 언급하지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당대 인쇄술의 발달이다. 그전까지만 해도 그렇게까지 배척되지 않았던 마법과 마녀를 새로운 악의 근원으로 지목한 ‘이단적 마녀의 응징’, 그에 이어 마녀식별법을 담은 ‘마녀의 해머’ 같은 책이 연이어 나왔는데 ‘마녀의 해머’는 20쇄를 거듭할 정도로 큰 인기를 누렸다. 지금과 달리 글 읽는 사람도 별로 없던 시절에 말이다.

이는 무슨 의미인가. “마녀사냥이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행해진 일방적 폭력”이란 사실을 부정하고 “어떤 공모”가 있었음을 의심하기에 충분하다. 그 증거는 “마녀사냥이 한창일 때 자신이 마녀라고 스스로 고백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에서 드러난다. 아니, 심판받아 끔찍한 고통 속에서 죽어갈지도 모르는데 자백이라니? “마녀였지만 회개하고 죽으면 천국행이 보장됐기 때문”에 “회개라는 행위가 주는 심리적 카타르시스는 대단”했을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니까 위기에 처한 공동체가 앓은 거대한 열병이 마녀사냥이지만, 한편으로는 마녀사냥 자체가 대중매체를 통해 요란하게 소비된 하나의 쇼였다는 것이다.

내가 하면 검증이요, 네가 하면 마녀사냥이라는 논법은 여전히 시끄럽다. 인쇄술에 기반한 신문, 출판으로 구성된 상상의 공동체가 곧 근대국가였다는 점을 감안해 보면 결국 인쇄술에 기반한 신문, 출판의 가장 강력한 존립 근거는 어쩌면 마녀사냥인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이데올로기는 즐거움에 대한 문제”라는 저자의 표현이 재밌으면서도 섬뜩한 기운을 풍긴다. 1만 2000원.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2-23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