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승확률 0%’ 통계, 맞았나요

‘우승확률 0%’ 통계, 맞았나요

입력 2013-11-02 00:00
업데이트 2013-11-02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벌거벗은 통계학/찰스 윌런/김명철 옮김/책읽는 수요일/448쪽/1만 8000원


미국에 ‘스포츠일러스트레이티드 징크스’라는 것이 있다. 뛰어난 성적을 올린 운동선수나 팀이 잡지의 표지모델로 나가면 그 뒤부터 이상하게 성적이 곤두박질치는 현상을 말한다.

표지로 나간 것이 심적인 부담이 되기 때문이라는 등 구구한 해석이 있지만 통계를 알고 나면 수긍하게 된다. 표지 모델이 되는 것은 ‘팀 20연승’, ‘10경기 연속 홈런’ 같은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때다. 그러나 그런 상황이 오래갈 수는 없다. 사람들에겐 장기적으로 정상(正常)으로, 평균으로 돌아가려는 ‘평균회귀’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벌거벗은 경제학’으로 친숙한 찰스 윌런이 ‘벌거벗은 통계학’으로 우리를 찾아왔다. 이 책은 먼저 나온 책과 마찬가지로 어렵고 복잡한 통계를 일상생활과 결부해 재미있게 설명해준다.

통계는 정상분포, 표준편차 등 여러 가지 기법을 통해 현실이나 현상을 분석·해석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출구조사를 통해 선거결과를 예측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또 경찰관 수와 범죄와의 상관관계, 하버드대 입학과 잘사는 것의 연관관계 등 일반인들이 궁금해하는 것에 답을 준다. 특정상황을 가정하고 그런 상황에 변수를 주는 요인에 조치를 취한 뒤 연구를 하는 회귀분석을 통해서다.

뉴욕타임스는 지난해 봄 수컷 초파리가 암컷 초파리에게 계속 퇴짜를 맞자 술로 슬픔을 달랬다는 재미난 기사를 1면에 실었다. 과학전문저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연구자들은 한 수컷 초파리 무리에는 암컷 초파리와 자유롭게 짝짓기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한 뒤 다른 수컷 초파리 무리는 이미 짝짓기가 끝난 암컷 초파리들과 합방하게 했다. 이들의 옆에는 초파리 먹이인 효모와 설탕이 든 대롱과 15%의 알코올이 함유된 대롱을 놓아두었다. 그러자 암컷과 짝짓기하지 못한 수컷 초파리들은 독주를 더 마시며 아쉬운 마음을 달랬다.

통계는 평균, 중앙값 등을 왜곡시켜 사람들의 눈을 속이기도 하지만 상황의 통제를 통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담배와 암의 인과관계는 관심 사안이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실험할 수는 없다. 결국 상황을 연출해야 한다.

지은이는 “초파리의 사례처럼 지식의 진보는 연구하고자 하는 상황을 어떻게 재치있게 설정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그는 그러나 “통계 기법의 발전, 데이터의 집적과 접근권의 향상으로 개인에 대한 정보나 특성 등이 노출돼 사생활이 침해될 가능성도 높다”고 우려한다.

임태순 선임기자 stslim@seoul.co.kr

2013-11-02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