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을 혐오하고 억압하는 종교에 대한 도발

성을 혐오하고 억압하는 종교에 대한 도발

입력 2013-11-02 00:00
업데이트 2013-11-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침대 위의 신/대럴 W 레이 지음/김승욱 옮김/어마마마/408쪽/1만 8000원

“가서 신이 없는 섹스를 즐겨라!” 저자는 이 책의 본문 마지막에서 성(性)에 대해 이렇게 도발적인 제안을 한다.

‘침대 위의 신’(원제 SEX & GOD)은 성생활에 종교가 끼어드는 것이 사람들에게 이득이 되는지 의문을 품고 다양한 조사를 한 뒤 쓴 책이다. 종교가 어떻게 인간의 성을 왜곡하고 있는지 탐구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현대 종교의 세 가지 핵심적인 믿음이 성적인 왜곡과 성적인 테러로 이어지고 수많은 근거 없는 주장의 지지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견을 내세운다. 그것은 ▲내세에 대한 믿음 ▲모든 것을 지켜보고 모든 것을 아는 신이 내세에 우리가 얻게 될 지위를 결정한다는 믿음 ▲신이 그 내세에 들어갈 수 있는 조건으로서 특정한 성행동 이외의 모든 성행동을 배제한다는 믿음이다. 모든 것을 알고, 지켜보며, 복수심 강한 신이 특정한 성행동만 요구한다는 믿음에 겁먹은 신도들이 성적인 자기 실현이나 충족에 이르지 못한 채 겉으로만 순종하면서 속으로는 비참한 삶을 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섹스에 대한 종교의 가르침 때문에 성적으로 억제되지 않은 사람들은 흔히 자신에게 결함이 있다는 생각을 한다. 교회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강렬한 충동을 느끼는 자신이 신에게 반항하며 죄를 짓고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종교적으로 금지된 성행동을 한 뒤 몇 주 동안 기도를 하며 회개하는 사이클이 만들어질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 생물학적인 충동이 다시 표면으로 떠오를 수 있기 때문에 그는 다시 금지된 행동을 한 뒤 또 회개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그는 죄책감에 시달리면서 사이클이 반복될 때마다 자신이 무가치한 인간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이런 마음을 달래는 방법은 다시 종교에 기대는 길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그럼으로써 종교는 스스로를 널리 퍼뜨리는 목적을 달성하고 섹스가 그 목적을 달성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쓰이게 되는 것이다.

저자 대럴 W 레이는 미국 근본주의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나 감리교 신학대학에서 종교학으로 석사학위를, 조지피보디대학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30대 초반에 불가지론자(不可知論·사물의 궁극의 실재, 절대자, 신은 알 수 없다는 입장)가 되었으며 40세에 무신론자가 되었고 지금은 종교에서 벗어난 사람들의 단체인 RR(Recovering from Religion)을 설립해 강연과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유상덕 선임기자 youni@seoul.co.kr

2013-11-02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