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전쟁을 통해 싹 트는 관용의 정신

종교전쟁을 통해 싹 트는 관용의 정신

입력 2014-09-06 00:00
업데이트 2014-09-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용의 역사/김응종 지음/푸른역사/487쪽/ 2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오늘날 관용이란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하지만 16세기에 관용의 의미는 ‘종교적인 용인’에 머물렀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313년 공인된 이후 그리스도교는 한마디로 박해하는 종교였다. 관용의 역사가 자고린은 “과거와 현재의 모든 거대 종교 중에서 그리스도교는 가장 불관용적인 종교”라고 규정했을 정도다. 그리스도교의 불관용적인 태도는 1965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면서 공식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리스도교는 오랜 독선과 불관용을 버리고 여러 종교들 가운데 하나의 종교임을 겸허하게 받아들였다.

신간 ‘관용의 역사’는 르네상스에서 계몽주의까지의 서양 근대사회를 관용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저자는 시기를 이렇게 한정한 이유에 대해 “이 시기에 유럽이 그리스도교의 지배에서 벗어나 세속사회로 들어서기 시작했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저자는 이단을 박해하고 종교전쟁을 벌이는 기독교의 이율배반적 측면을 집중 조명한다. 1517년 마르틴 루터가 일으킨 종교개혁은 관용의 관점에서 볼 때 역사의 전환점을 알리는 일대 사건이다.

그러나 저자는 프로테스탄트의 교회 또한 불관용이라는 역사의 평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한다. 스스로 양심의 자유를 말하지만, 타인에 대해선 인정하지 않는 모순에서 역시 자유롭지 못하다는 설명이다. 오히려 종교개혁의 직접적인 결과인 종교전쟁을 통해 관용의 정신이 발아했다고 본다. 프랑스에서 관용이라는 말이 등장한 것은 종교전쟁이 시작된 1562년이고, 양심의 자유라는 말이 사용된 것도 이 무렵이다. 독일에서는 1618년 시작된 30년 전쟁 중 관용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1787년 루이 16세는 관용칙령을 공포해 프로테스탄트들에게도 종교의 자유를 부여한다. 그러나 여전히 관용은 ‘용인’ ‘시혜’의 의미를 지니는 구체제의 개념이었기에 곧바로 폐기된다.

관용의 정신이 서구 정신에 내면화되기엔 장구한 역사가 필요했다. 책에 따르면 관용의 의미 변화는 근대에 들어 자연법과 자연권 사상이 발전하면서 개인의 권리 개념이 등장한 덕분이다. 계몽주의자들에게 종교의 자유와 양심의 자유는 더이상 군주가 용인하거나 시혜를 베풀 대상이 아니었다. 볼테르는 “인간은 약한 존재이기 때문에 타자를 존중해야 한다”는 논리로 관용이 자연권임을 주장했다. 프랑스혁명은 “종교의 자유가 자연적이고 양도 불가능하며 신성한 권리”라고 선언함으로써 관용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었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09-06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