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설 연휴 ‘스카이캐슬’ 독서토론회 합시다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설 연휴 ‘스카이캐슬’ 독서토론회 합시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1-31 20:58
업데이트 2019-02-01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니체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귀스타브 르봉 ‘군중심리학’, 플라톤 ‘국가론’, 마키아벨리 ‘군주론’. 최근 인기를 끈 JTBC 드라마 ‘스카이캐슬’ 독서토론회에 등장하는 책입니다. 이름만 들어도 머리가 지끈거립니다. 그래서 극 중에서 우주 엄마가 이렇게 말하죠. “이게 정말 아이들이 읽는 책이야?”

고교생이 왜 이런 어려운 책을 읽을까. 이유는 간단합니다. 대입 때문입니다. 고교 학교생활기록부 항목 가운데 독서활동상황이 있는데, 이곳에 읽은 책의 제목과 저자를 기록합니다. 학생들 대부분이 ‘폼나는’ 책을 기록합니다. 그러나 무턱대고 써놨다가 면접에서 “책을 읽고 뭘 느꼈느냐”라는 질문에 제대로 답변을 못 하면 큰일입니다. 학생부 외에 독서 후 느낀 점을 자기소개서에 쓸 수도 있습니다. 또 과목별 수행 평가에도 활용합니다. 그래서 학생들이 어려운 책을 읽는 겁니다. ‘스카이캐슬’에는 자세히 나오지 않았지만, 꼼수도 있습니다. 학원에서 학생에게 책 요약본을 주고, 예상 면접 질문을 만들어 달달 외우도록 하기도 합니다. 교육팀에 있을 때 해당 사례를 취재하며 씁쓸해했던 기억이 납니다.

오로지 대입을 위해서가 아니라면, ‘스카이캐슬’에 나온 독서 토론은 사실 권할 만한 일입니다. 내가 읽은 것과 남이 읽은 것을 비교하며 내 생각을 좀더 확장할 수도 있습니다. 독서를 하고 내 생각을 글로 쓰거나 토론으로 구체화해 보는 일은 책을 읽고 아무것도 안 하는 것보다 훨씬 많이 남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실생활에서 천천히 시작하는 거겠죠. 그래서 책골남은 제안합니다. 이번 설 연휴에 정치, 결혼, 취업 이야기 대신 친척들과 독서 토론을 해 보는 건 어떨까요. 쉽지는 않을 겁니다. 정작 어른들부터 책을 읽지 않으니까요. 그러니 우선 서점으로 가세요. 맘에 드는 책을 고르세요. 그리고 함께 읽으시면 됩니다. 연휴 시작 전입니다. 늦지 않았습니다. 시작이 반입니다.

gjkim@seoul.co.kr

2019-02-01 3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