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했다가 시시해진 중년을 위하여

반짝했다가 시시해진 중년을 위하여

이슬기 기자
입력 2019-07-02 17:22
업데이트 2019-07-03 0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편소설 ‘상냥한 사람’으로 돌아온 작가 윤성희

이미지 확대
등단 20년 차의 작가는 독자들에게 어떤 것을 바랄까. “욕심은 없고, 독자들이 책 덮고 2~3일쯤 지나 길을 걷다가 한 장면 정도는 생각나면 좋을 거 같아요.” 해장국 집에서 ‘츱츱’하고 뼈다귀를 빨아 먹는 소리, ‘쌍쌍바’를 혼자 먹는 모습 등 윤성희의 소설에는 작지만 쉬이 잊을 수 없는 장면들이 많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등단 20년 차의 작가는 독자들에게 어떤 것을 바랄까. “욕심은 없고, 독자들이 책 덮고 2~3일쯤 지나 길을 걷다가 한 장면 정도는 생각나면 좋을 거 같아요.” 해장국 집에서 ‘츱츱’하고 뼈다귀를 빨아 먹는 소리, ‘쌍쌍바’를 혼자 먹는 모습 등 윤성희의 소설에는 작지만 쉬이 잊을 수 없는 장면들이 많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현대문학상, 이수문학상, 황순원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199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래 수상도 집필도 성실하게 해 왔다. 윤성희(46) 작가다.
이미지 확대
윤성희의 소설에는 작가처럼 성실하지만 작가와 달리 빛을 못 본 사람들이 주로 등장한다. 새로 출간한 장편소설 ‘상냥한 사람’(창비)도 마찬가지다. 인기 드라마 ‘형구네 고물상’의 아역 ‘진구’를 맡았던 형민은 38년이 지나 ‘그 시절, 그 사람들’이라는 프로그램에 섭외된다. ‘진구’로 반짝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것 이외, 형민은 실상 별 볼 일 없는 사람이었다. 드라마 종영 이후 오디션마다 번번이 낙방했고 성적도 점점 더 떨어졌다. 아내를 만나 딸을 낳고 가족을 이루기도 했지만 지금은 이혼했고 아내는 세상을 떠났다. 녹화가 진행될수록 형민의 머릿속을 가득 채우는 건 자신이 불행했다는 사실 뿐. 결국 형민은 녹화 중간, 자리를 박차고 나간다.

작가는 “5년 전부터 ‘상냥한 사람’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만지작거렸다”고 했다. 사실 ‘상냥’이란 사람들이 입말로는 잘 쓰지 않는 사어(死語)에 가깝지만, 작가는 이 단어를 먼저 두고 글을 풀어나갔다. “‘친절한 사람’, ‘따뜻한 사람’ 이러면 현실감이 있는데 ‘상냥한 사람’은 비현실적이잖아요. 뭔가 겹이 있을 거 같고 희한했어요.”

최근 서울 마포구 서교동 까페창비에서 만난 작가는, 자신과 비슷한 또래의 형민을 두고 “한 때 반짝했다가 시시한 중년이 된 사람”이라고 했다.

“만약 그런 사람이 있다면 ‘어떤 걸로 반짝했을까’ 생각해 보니 아역 배우가 떠올랐고요. 스스로 배우가 되고 싶었던 것도 아닌데 한때는 온 국민을 울렸던 사람이 그 이미지로만 남아 있다 성인이 된다는 건 무엇일까 궁금했어요.”

소설 속 형민은 마렵지 않은 오줌을 누거나, 변기 앞에서 주춤하며 돌아서는 사람이다. 방송 녹화 도중 “화장실 좀” 했다가 막상 가서는 손만 닦고 나오고, 대학 산악 동아리에서 한 명씩 돌아가며 ‘고해성사’하는 장면에서 부러 화장실에 간다.

‘윤성희의 소설은 겁쟁이들의 소설’(황예인 문학평론가)이라는 평처럼 형민도 어김없이 겁쟁이인 탓이다. “어릴 때는 겁쟁이어도 되잖아요. 커서는 훨씬 무서운 일이 많은데도 어른에게 겁쟁이란 말이 금기어 같아요. 사는 것도 소설 쓰는 것도, 사실 좀 무섭고 겁이 나는데. 겁쟁이 어른에 대한 연민이 좀 있어요.”

윤성희표 장편은 일면 연작 소설 같기도 하다. 분명 주인공은 형민이지만, 주변부 인물들의 이야기가 끝도 없이 가지를 뻗어나간다. 형민의 삶을 되짚는 ‘그 시절, 그 사람들’의 사회자는 물론 형민의 딸 친구의 부모들 사연까지도 풍성하게 다루는 식이다.

“저는 사실 인물을 만드는 것은 인물을 뺀 나머지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요. 누구랑 친해진다는 건 누구의 엄마도 알고 아빠도 아는 거잖아요. 나라는 인간을 말하려면 미우나 고우나 주변 사람들 얘기를 해야 하는 거죠.”

그게 ‘TMI’(너무 과한 정보·Too Much Information)라고 여겨지지 않는 이유는 그들 삶의 풍경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 모두가 공감하는 일상의 편린들이기 때문이다. 작가는 “고속도로가 있을 때 샛길을 나갔다가 언제 들어올지 생각해야 하는 것처럼 완급조절을 항상 고민한다”며 웃었다.

등단 20년, 꾸준히 쓴 사람은 알지 않을까 싶어 물었다. 요즘 시대의 문학의 의미는 뭘까. 한곳을 응시하던 그는 “모든 행위는 ‘인간이란 무엇일까’를 묻는 것”이라면서 그곳에 걸린 경찰포스터를 가리켰다.

“만약 경찰이라면, ‘인간은 무엇이길래 악에 빠질까’ 했을 거예요. 전 소설가라 이야기로써 이 물음을 풀어내고 있달까요.” 이야기가 좋아서 일단은 쓰고, 사후에 의미를 물어본다는 작가의 대답이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7-03 2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