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휴가 이후 퇴사율 줄고 직원 만족도 높아졌어요”

“안식휴가 이후 퇴사율 줄고 직원 만족도 높아졌어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7-02 22:30
업데이트 2019-07-03 0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직장인의 한 달 휴가’ 출간 김동석 대표

‘3년 근무 땐 안식월 제도’ 10년째 추진
제주 한 달 살기·템플스테이·캠핑 즐겨
“인간적 매력 있는 회사 이미지 큰 소득”
이미지 확대
김동석 엔자임헬스 대표
김동석 엔자임헬스 대표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하면서 여가가 늘었지만 충분하지는 않죠. 한 달 정도는 직장에서, 일에서 완전히 떨어져 지내볼 필요가 있습니다. 직원이 며칠 회사를 비우면 큰일 날 거 같죠? 직원 복지에 팍팍한 회사가 더 큰 걸 잃을 수도 있습니다.”

김동석(50) 엔자임헬스 대표는 ‘3년 동안 근무하면 한 달 휴가’라는 안식월 제도를 회사에 적용한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엔자임헬스는 헬스 관련 홍보 마케팅 회사로 직원이 65명 정도다. 작은 회사지만 다른 직장인이 부러워하는 이유가 바로 이 안식월 제도다. 올해 10년째 탄탄하게 추진하고 있다. 최근엔 직원들의 경험을 묶어 ‘직장인의 한 달 휴가 두 번째 이야기’를 출간했다.

2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만난 김 대표는 안식월 도입 당시부터 조곤조곤 설명했다.

“어느 날 저녁 광화문 사거리에서 직장인들이 퇴근하는 모습을 보면서 불현듯 직원들에게 미안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희 직원들은 퇴근을 꿈도 못 꾸고 있었죠. 당시엔 그저 회사 키우기에만 급급했거든요.”

제도를 시행하겠다고 하자 직원들이 오히려 걱정하고 나섰다. “일이 제대로 되겠느냐”는 이유였다. 고객사를 대하는 업무 특성상 한 사람이 빠지면 다른 직원이 일을 대체하기 어렵기도 했다. “내가 모범을 보이겠다”며 김 대표가 1호로 한 달을 다녀온 뒤 제도가 차츰 자리를 잡았다. 김 대표는 안식월의 핵심으로 업무 조율을 꼽는다. 회사는 매년 초 대상자 명단을 발표한다. 해당자가 안식월 계획을 세우면 9개 본부의 각 본부장이 업무를 조율한다. 지난 10년 동안 64번, 1920일간 안식월을 썼다. 8명은 2회 이상, 6명은 3회 이상 안식월 경험을 했다.

이들은 제주시에서 한 달 보내기, 스위스 배낭여행, 유럽 빵 여행, 아시아 3개국 테마여행, 북·숲·템플스테이, 하와이에서의 캠핑 등으로 안식월을 보냈다. 이 이야기를 담은 책은 회사 대부분이 안식월은 꿈도 꾸지 못하고, 간혹 제도가 있더라도 유명무실한 데 대한 항변이기도 하다.

“우리처럼 작은 규모의 회사도 안식월을 운영한다는 것을 책으로 보여 주고 싶었어요. 작은 회사가 이렇다면 큰 회사는 더 짜임새 있게 운영할 수 있을 겁니다.”

안식월을 운영하면서 얻은 최고의 장점은 무엇일까. 김 대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그 무언가”라고 말했다. “퇴사율이 줄고 직원 만족도가 높아진 것은 당연한 결과이고요. 여기에 ‘인간적인 매력이 있는 회사’라고 생각하게 된 점이 가장 큰 소득 아닐까요.”

글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사진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2019-07-03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