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권력 물려줄까 움켜쥘까

시진핑, 권력 물려줄까 움켜쥘까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10-03 17:38
업데이트 2019-10-04 0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의 엘리트 정치/조영남 지음/민음사/700쪽/3만원
이미지 확대
마오쩌둥(毛澤東)이 1949년 10월 1일 베이징에서 ‘신중국’을 선언한 이후 70년이 지났다. 중국은 미국과 어깨를 겨루는 초강대국으로 발돋움했다. 이 시기를 이끈 이들은 중국의 엘리트들이다. 이들이 어떤 정치를 펼쳤는지 따라가면 지난 70년도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지중파가 인정하는 ‘중국통’ 조영남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신작 ‘중국의 엘리트 정치’에서 중국의 70년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눈다. 첫째는 마오쩌둥 시대다. 1946년부터 1976년 그의 사망 때까지다. 다음은 개혁기다. 덩샤오핑(鄧小平)이 이끌었던 1977년부터 현재까지 42년 기간이다. 이때를 다시 덩샤오핑 사망 전후로 나눌 수 있다. 사망 후에는 장쩌민(江澤民)과 후진타오(胡錦濤)가 있었고 시진핑(習近平)으로 이어진다.

중국 엘리트 정치는 그동안 3단계 변화를 겪었다고 진단한다. 마오쩌둥 ‘일인지배’에서 덩샤오핑 때 ‘원로지배’를 거쳐 덩샤오핑 사망 이후 ‘집단지도’ 체제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마오쩌둥은 황제와도 같았지만, 덩샤오핑은 마오쩌둥만큼 압도적인 힘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주요 정책과 인사 문제를 결정할 때 반드시 원로들과 상의했다. 덩샤오핑 사망 이후 혁명 원로들도 사망하면서 중국 정치국과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이끄는 집단지도 체제가 시작됐다. 개인이 권력을 독점하는 방식을 막고자 복수의 정치 지도자와 정치 세력이 권력을 나눠 가지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권력을 행사한다.

시진핑은 같은 집단지도 체제라도 장쩌민과 후진타오와는 조금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는 취임 때부터 기존 파벌 체제를 타파하고 자신과 가까운 이들을 끌어들여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다. ‘중국의 꿈’(중국몽)을 내세워 국민의 절대적인 지지도 받는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마오쩌둥처럼 일인지배 체제를 일굴 것으로 내다본다.

저자는 이와 관련, 시진핑의 향후 선택을 3가지로 압축한다. 첫 번째는 공산당 총서기, 국가 주석, 중앙군위 주석을 다음 지도자에게 물려주는 방식이다. 중앙군위 주석과 국가 주석은 그대로 맡은 채 공산당 총서기와 국무원 총리를 이양하는 방식, 권력 이양을 하지 않고 일인지배로 돌아가는 방식도 있다. 시진핑은 2022년 열리는 공산당 20차 당대회에서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700쪽에 이르는 설명을 읽다 보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10-04 3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