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으로 물든 역사 속에서도… 민중은 살아간다

폭력으로 물든 역사 속에서도… 민중은 살아간다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6-11 18:02
수정 2020-06-12 02: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역사의 끝까지/루이스 세풀베다 지음/엄지영 옮김/열린책들/320쪽/1만 3800원

이미지 확대
지난 4월 칠레 출신의 세계적인 작가 루이스 세풀베다의 사망 소식이 들려왔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스페인 북구 오비에도의 한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그는 일흔의 나이에 사망했다. 칠레의 군부 독재자 피노체트가 정권을 잡은 이래 줄곧 외국 망명길에 올라야 했던 좌파 지식인의 최후였다.

신간 ‘역사의 끝까지’는 세풀베다가 남긴 마지막 장편소설이다. 그는 자신의 분신과 같은 후안 벨몬테를 내세워 20세기의 굵직한 역사적 사건을 톺아본다. 트로츠키 시절 러시아에서 피노체트의 칠레, 나치 치하의 독일에서 오늘날 파타고니아에 이르기까지.

주인공 벨몬테는 수많은 전투에서 목숨을 걸고 싸운 백전노장이지만, 이제는 무기를 내려놓고 칠레 남단의 바다가 내다보이는 집에서 조용히 살아간다. 그러나 역사의 격변을 피할 수 없는 게 그의 운명이어서, 러시아 비밀 정보기관이 백발백중의 저격수이자 지하조직 활동 경험이 풍부한 그를 찾았다. 피노체트 정권 시절 고문 기술자로 악명을 떨치다 반인륜범죄로 칠레에서 복역 중인 카자흐스탄 장군을 제거하기 위해서다.

소설은 살아 있는 한 과거의 그림자를 지우고는 살 수 없는 현실에 대한 변주다. 세풀베다는 전작 ‘귀향’에서도 등장시킨 벨몬테라는 인물을 통해 과거의 역사를 반복적으로 다룬다. 생전에 “작가의 의무는 좋은 이야기를 잘 풀어나가는 것이다. 책으로는 세계를 변화시킬 수 없다”고 말한 그는, 이야기를 멈추지 않고 사람들에게 상기시키는 것만이 작가의 의무라고 생각한 듯하다.

또한 책은 민중들에게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폭력을 고발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과거에는 독재정권이 국가의 이름으로 폭력을 자행했지만, 오늘날 칠레 수도 산티아고에서 전 지구화된 자본주의 시장이 일상적인 폭력을 낳는다. “그래도 이렇게 살아 있잖아. 이건 절대 우습게 볼 일이 아니라고.”(127쪽) 한 세월 지나 다시 만난 백전노장들의 건배사는 험난한 시절을 보내고 떠난 노작가를 다시금 추모하게 한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6-12 1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