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유산 이름 뒤집은 ‘브이 선언’… ‘성폭력 가해자’ 그의 입 빌려 위로받다

아버지의 유산 이름 뒤집은 ‘브이 선언’… ‘성폭력 가해자’ 그의 입 빌려 위로받다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8-13 17:40
수정 2020-08-14 04: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아버지의 사과 편지/이브 엔슬러 지음/김은령 옮김/심심/208쪽/1만 5000원

딸에게 심리적·육체적 폭력 가하던
죽은 아버지가 가상 사과하는 형식
가족 억압 돌아보고 자신의 삶 위무

‘버자이너 모놀로그’ 작가로 유명세
이미지 확대
‘아버지의 사과 편지’를 쓴 이브 엔슬러는 미국 공연계 최고상인 토니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극작가이자 사회운동가다. 그는 책에서 성폭력 가해자인 아버지를 무덤에서 불러내 피해자인 자신 앞에 세우는 작업을 시도한다. ⓒPaula Allen
‘아버지의 사과 편지’를 쓴 이브 엔슬러는 미국 공연계 최고상인 토니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극작가이자 사회운동가다. 그는 책에서 성폭력 가해자인 아버지를 무덤에서 불러내 피해자인 자신 앞에 세우는 작업을 시도한다.
ⓒPaula Allen
박원순 전 서울시장에 의한 성추행 피해를 주장한 고소인을 일각에서 ‘피해 호소인’이라고 불렀다. 일견 타당해 보이는 명칭에는 성폭력 피해자를 대하는 사회의 시선이 고스란히 담겼다. 저의와 배후를 의심하며, 끊임없이 ‘피해자다움’을 강조하는 2차 가해다.

신간 ‘아버지의 사과 편지’는 아버지로부터 성폭력 피해를 입은 여성이 31년 전 세상을 떠난 아버지의 사과 편지를 상상하며 써내려 간 글이다. 저자는 세계적인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연극 ‘버자이너 모놀로그’의 작가 이브 엔슬러다. 다섯 살 때부터 아버지에게 성적으로 유린당했던 그는 여성 성기의 본질을 묻는 ‘버자이너 모놀로그’를 썼고, 이번엔 자신의 피해 사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글을 썼다.

아버지가 딸에게 가한 성적·심리적·육체적 폭력을 묘사한 부분을 읽다 보면, 책을 덮고 싶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타인조차 목도하기 힘든 폭력의 기억을 이브는 왜 불러왔을까. 이미 죽은 아버지로부터, 내가 쓴 가상의 사과를 받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나. 책을 읽는 내내 의문이 휘몰아친다. 그러나 책장을 넘길수록 ‘아버지의 사과 편지’를 쓰는 일은 다름 아닌 피해자인 ‘나’를 위무한다는 점을 어렴풋이 알게 된다.

편지는 아버지가 자신의 태생부터 거슬러 올라가 스스로 돌아보며 시작한다. 복종을 강요하는 억압적인 부모, 형의 성적 학대 등으로 얼룩진 유년 시절, 부와 매력을 지닌 ‘괜찮은 남자’로서 인정 투쟁을 해야 했던 결혼 전 아버지의 모습이다. 가부장제 속에서 자란 그는 아내와 아이를 엄격하게 다뤄야 할 소유물로 생각했다. 그들이 자신의 뜻을 따르지 않으면, 권위를 침해받은 것으로 인식하는 알량한 ‘남자다움’이 아버지 아서 엔슬러의 요체다.
이미지 확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세세한 폭력 묘사에서 직시할 수 있는 것은 방관하는 어머니와 쪼그라든 가부장의 실체다. 이브의 엄마는 딸에게 폭력을 휘두르며 “칼 가져오라”는 남편의 말에 그저 자리를 피해버리는 인물이다.

아서는 독립해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리는 딸을 두고 ‘나 없이는, 나의 허가 없이는 네가 아무것도 아니라는 사실이 너무나 기뻤어’(160쪽)라고 고백한다. 역설적으로 딸에게 행사하는 삐뚤어진 영향력이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자신인 줄도 모르고.

반면 작가가 되겠다고 최초로 선언한 날, 자신을 겁박하는 아버지에게 이브가 주먹을 들어 보이며 했던 말은 수십 년 가스라이팅 속에서도 피어난 인간의 존엄을 느끼게 한다. “내 꿈을 위해 돈을 댈 필요 없어요. 하지만 다시 나에게 손찌검을 한다면 이 집을 영원히 떠날 테니 그렇게 아세요.”(150쪽)

이브는 지난해 TED우먼 강연에서 이렇게 말했다. “사과는 기억하는 것이다. 사과는 일어난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는 걸 얘기하는 것이다. 사과는 우리가 대면한 지금의 문제에서 앞으로 나아갈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은 ‘아버지의 입을 빌려 스스로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하는 것’(121쪽)이 ‘뒤늦은 사과 편지’의 가치다. 끔찍한 학대 속에서 자라난 이브는 여성들의 상처를 기록하는 이가 됐고 아담의 일부인 이브가 아닌, 홀로 우뚝 선 ‘브이’가 됐다(이브 엔슬러는 아버지의 유산인 이름을 ‘브이’로 개명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8-14 2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