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를 캔버스에 담아낸 최초의 작품”[그 책속 이미지]

“無를 캔버스에 담아낸 최초의 작품”[그 책속 이미지]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3-08-04 01:03
업데이트 2023-08-04 0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거의 모든 순간의 미술사/존폴 스토나드 지음/윤영 옮김/까치글방/592쪽/3만 9000원

이미지 확대
거칠게 요동치는 바다와 공기의 짙푸른 황막함이 보는 이를 압도한다. 등을 보인 채 먼 곳을 응시하는 검은 옷의 수도사만이 광대한 풍경의 규모를 가늠케 한다. 세상의 끝에 다다른 듯한 느낌, 그래서 주변의 세부보다 내 안을 더 들여다보게 하는 그림은 기묘한 위안을 준다.

독일 화가 카스파어 다비트 프리드리히가 1810년에 그린 ‘해변의 수도사’에 대해 영국 미술사가 존폴 스토나드는 “무(無)를 캔버스에 담아낸 최초의 위대한 작품”이라고 일컫는다. 저자는 “그의 그림에서 보이는 것이라고는 춥고 텅 빈 황량한 세상뿐, 진실을 찾는 우리 자신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그의 세계에서 느껴지는 고요함과 무심함은 그 자체로 위안의 원천이었다”고 말한다.

제목처럼 책은 미술사에서 중요한 창조 행위의 장면들을 한 권에 꿰 내며 인간이 미술을 통해 세상과 어떤 관계를 맺고 어떻게 본성을 직시하고 탐구해 왔는지 짚는다. 340여장의 이미지는 선사시대 초기 인류의 창작 흔적부터 형태와 자유의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현대미술까지 이르는 긴 여정에 징검다리가 돼 준다.

정서린 기자
2023-08-04 1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