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설움·차별 걷어 내는 ‘순한 먼지’

세상의 설움·차별 걷어 내는 ‘순한 먼지’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4-02-16 01:21
업데이트 2024-02-16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순한 먼지들의 책방
정우영 지음/창비/116쪽/1만원

이미지 확대
낮게 엎드린 것들, 가장 약한 존재들에 연민이 깊은 시인은 ‘그 자체로 사랑이면서 사랑을 베풀지 못했다고 자책하는 가쁜 숨결들, 달싹이는 속말의 울음기’들에 유독 귀가 밝다. 올해 등단 35주년을 맞는 정우영(63) 시인의 다섯 번째 시집 ‘순한 먼지들의 책방’이 작고 여린 것들을 위무하는 ‘안식의 시편’으로 읽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정우영 시인
정우영 시인
시인이 꿈꾸는 세상은 돈의 논리에 따른 설움이나 차별 따위를 걷어 내는, ‘순한 먼지’들이 뽀얗게 내려앉은 세상이다.

‘여기저기 떠다니던 후배가 책방을 열었어./가지 못한 나는 먼지를 보냈지./먼지는 가서 거기 오래 묵을 거야.//머물면서 사람들 남기고 가는 숨결과 손때와 놀람과 같은 것들 섞어서 책장에 쌓고는, 돈이나 설움이나 차별이나 이런 것들은 걷어 내겠지.(중략)//그려 보기만 해도 뿌듯하잖아./지상 어디에도 없을,/순한 먼지들의 책방.’(순한 먼지들의 책방)

구체적인 실감으로 다가오는 죽음을 생의 필연적인 인과 과정으로 지순하게 받아들이는 시편도 여럿 눈에 띈다. 아내의 임종은 못 지켰지만, 고인의 손때 묻은 벽시계를 통해 이제는 다른 차원에서 흐를 아내의 시간을 쓰다듬는다.

‘묻을 수도 없고 내다 버릴 수도 없는 뻐꾸기시계, 참담하게 늘어진 며칠이 지나 가만히 쓰다듬었는데요. 얘가 느릿느릿 움직이는 거예요.(중략) 이 시계는 혹 알지 않았을까요. 한 사람이 생을 지워 또 다른 시간 속에 접어들었음을. 그리하여 이제는 갈라진 우리의 시공간을 한꺼번에 껴안고 돌아가는 것 아닐까요.’(뻐꾸기시계)

질박한 옛 단어들을 입속에 되뇌며 그립고 정감 어린 풍경을 상상해 보는 재미도 새록새록하다.

‘동지라 팥죽 쑤어 한 주걱 두 주걱, 여기저기 골고루 뿌렸는데요. 사라져 버린 분들이 한꺼번에 오셨어요. 정짓간, 부석짝, 마룻장, 허청, 장독대, 시암터, 똥간에다 심지어 베어진 배나무까지.(중략) 팥죽이 액막이라고요? 이 무슨 생뚱맞은 말씀. 환한 새봄 쟁취하자는 혈맹으로 읽습니다.’(동지)
정서린 기자
2024-02-16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