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전등사의 역사·문화적 전통 느껴보세요

강화 전등사의 역사·문화적 전통 느껴보세요

입력 2013-09-27 00:00
업데이트 2013-09-27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5일부터 13회 삼랑성 문화축제

인천 강화 전등사는 ‘제13회 삼랑성 문화축제’를 다음 달 5∼13일 ‘천 년의 기다림, 새로운 시작 원(願)’이라는 주제로 개최한다.

삼랑성 문화축제는 삼랑성의 역사·문화적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해군이 약탈해 간 외규장각 도서 반환을 촉구하기 위해 2001년부터 시작된 문화 행사다. 전등사 주위의 삼랑성과 381년 고구려 소수림왕 때 아도화상이 창건한 전등사의 유서 깊은 역사·문화적 전통을 되살린다는 취지다. 전등사 주변의 삼랑성이라는 이름은 단군의 세 아들(삼랑)이 힘을 합쳐 쌓았다는 전설에서 비롯된 것이다. 몽골이 고려를 침략하자 고종이 궁궐을 짓고 원종이 부처의 가피로 재난을 물리치는 행사를 4개월간 펼친 곳으로 유명하며 정족산성이라 불리기도 한다.

올해 행사는 전국 미술 실기대회와 글쓰기, 전등사의 옛 스님들을 기리는 다례재, 각종 공연이 어우러지는 문화 한마당으로 진행된다. 피아니스트 이루마와 가수 웅산, 한영애, 안치환 등이 출연하는 가을음악회(5일)와 호국 영령을 위한 영산대재(7일), 강화 지역 예술 문화 단체들이 참가하는 지역 문화 한마당(12일), 극단 좋다의 마당극 ‘심청이 놀부를 만났을 때’(13일)를 비롯해 짚풀공예 체험, 특산물장터 등 다채로운 행사로 꾸며진다. 특히 구한말 육군대장 출신으로 전등사 전투에서 일본군을 물리치는 등 강화 곳곳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벌였던 강화 출신 의병장 이능권의 위령대재가 눈에 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3-09-27 2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