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도 부적으로 쓰는 건 불교 오도·망치는 길”

“달마도 부적으로 쓰는 건 불교 오도·망치는 길”

입력 2013-10-04 00:00
업데이트 2013-10-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교미술 인생 40년 결산 범주 스님

“선묵화의 대표적인 소재인 달마도를 부적으로 쓰는 사례가 부쩍 늘었습니다. 달마대사를 미신적 기복 신앙의 대상으로 변질시켜 ‘복만 받자’는 허황된 신앙심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지요.”

이미지 확대
지난 40년간의 수행을 통한 불교미술 인생을 결산하는 전시회를 여는 ‘선묵화의 대가’ 범주 스님. 스님은 먹과 붓을 통해 선(禪)으로 드는 선묵화가 미신적 기복 신앙의 대상으로 심하게 변질돼 가는 세태가 안타깝다고 말한다.
지난 40년간의 수행을 통한 불교미술 인생을 결산하는 전시회를 여는 ‘선묵화의 대가’ 범주 스님. 스님은 먹과 붓을 통해 선(禪)으로 드는 선묵화가 미신적 기복 신앙의 대상으로 심하게 변질돼 가는 세태가 안타깝다고 말한다.
오는 16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한국미술관에서 ‘천년 선묵화(禪墨畵) 고희(古稀)전’을 여는 속리산 달마선원(선문화예술원) 원장 범주(70) 스님. 불교 선화와 달마도의 대가로 꼽히는 스님은 전시에 앞서 3일 기자들과 만나 달마상이 악용되고 있는 현실을 먼저 질타했다.

“달마도를 부적으로 만드는 것은 불교를 오도하고 달마대사를 모독하는 훼불 행위일 뿐입니다. 포교가 아니라 불교를 망치는 길이지요.” 자신의 고희를 기념함과 동시에 불교미술 인생 40년을 회고하는 자리인 전시에는 한지에 먹으로 그린 선묵화에 옻칠을 더한 선묵화와 수묵화, 서암·숭산·일타 스님의 선서화와 고화 등 200여점이 선을 보일 예정이다. “달마도를 포함한 선화에 대한 인식을 바로잡기 위한 자리”라고 스님은 거듭 강조한다.

선묵화는 본디 먹과 붓을 통해 선(禪)으로 들어가는 길이다. 어찌 보면 수행이자 포교의 수단인 선묵화가 손재주만 있는 사람들이 그리는 그림이나 미신적인 기복 신앙으로 활용되는 상황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다짐이 크단다. “선묵은 선 수행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불가능합니다. 밝은 기운을 가진 사람일수록, 수행이 깊을수록 좋은 작품이 나오지요.” 거꾸로 말하면 수행을 하지 않는 사람이 그리면 나쁜 기운, 탁한 기운이 깃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선묵화는 수행과 예술이 하나가 되는 ‘선묵일여’(禪墨一如)를 지향하는 만큼 참선 수행을 통해 밝아진 마음으로 그린 선묵화는 어두운 마음을 밝게 정화시켜 사람들을 밝은 삶으로 이끌지요.”

이번 전시회의 가장 큰 특징은 스님이 6년여 전부터 천착해 창조한 옻칠 선묵화들을 선보인다는 점이다. 옻칠은 방습, 방균, 방충 기능이 있고 전자파를 흡수할 뿐 아니라 원적외선도 방출해 선묵으로 그린 뒤 옻칠을 하면 보존 기간을 크게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가 이런 옻칠 선화에 천착할 수 있었던 건 홍익대 미대 서양화과를 다닌, 출가 전 이력이 바탕을 이룬다. 홍익대 서양화과 4학년 때 해인사에서 열린 대학생불교연합회 수련회에 갔다 발심(發心)해 2학기 등록금을 몽땅 털어 불교 서적을 사서 보문사로 들어간 스님이다. “화가가 되기 이전에 인간이 되는 것이 먼저이고, 그러려면 내가 누구인지 알아야겠다고 생각했지요.” 보문사에서 석 달간 공부한 뒤 이론보다는 실제로 수행이 중요함을 깨닫고 당시 최고 선지식으로 꼽혔던 전강 스님(인천 용화선원) 문하로 들어갔다. 이후 10년간 수행에 전념하다 다시 붓을 들었다고 한다.

옻을 심하게 탔던 스님이 옻칠 선묵을 개발하는 과정은 인욕(忍辱) 고행이었다고 한다. 정진하며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고 숱한 고통을 겪으면서도 옻칠 선화를 세상에 선보이겠다는 일념을 내려놓지 않았던 스님은 지난날을 돌이켜 이렇게 말한다. “사람들의 마음을 맑고 행복하게 해 주는 선화를 후손 대대로 물려줄 수 있어 출가 수행자로서 보람을 느낍니다.”

한편 전시 기간 매일 오후 7시에는 전시장에서 ‘현대인의 깨달음을 위한 특별한 선강좌’가 마련된다. 20여년 동안 미국에서 선불교를 지도해 온 현웅 스님(서울 육조사 선원장)과 범주 스님이 번갈아 가며 불교의 핵심 사상인 선을 통해 바라본 다른 종교의 참모습에 대해 강의하는 자리다.

글 사진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3-10-04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