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FO·우주식민지… 4050 꿈꾸게 한 과학잡지

UFO·우주식민지… 4050 꿈꾸게 한 과학잡지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1-17 02:20
수정 2023-01-17 02: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과학주의 담론’ 다룬 서적 2선

한민주 박사 ‘이상한 나라의 과학’
1952년 창간한 ‘소년세계’ 분석
미국 중심 인류발전 내용 집중
이선옥 교수 ‘태권V와 명랑소녀…’
‘여학생’ ‘학원’ 청소년 잡지 연구
신체변형·증강 등 우주과학 다뤄

이미지 확대
‘아동의 과학지식 보급과 정서 교육에 이바지하고자’ 발간된 ‘소년세계’. 1950~1970년대 인기를 끌었던 소년·소녀 월간잡지다. 위키피디아 제공
‘아동의 과학지식 보급과 정서 교육에 이바지하고자’ 발간된 ‘소년세계’. 1950~1970년대 인기를 끌었던 소년·소녀 월간잡지다.
위키피디아 제공
요즘은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책이 넘쳐나지만 읽지 않아 문장을 읽고 그 뜻을 이해하는 ‘문해력’에 아이든 어른이든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들린다. 과거에는 지금과 달리 읽을거리가 풍부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다양한 장르가 포함된 잡지는 독서에 대한 사람들의 갈증을 해소하는 수단이 됐다. 특히 1980년대까지만 해도 다양한 아동·청소년 대상 잡지가 많았고 상당 부분이 과학 관련 내용으로 채워져 과학 지식을 접하는 창구가 됐다.
이상한 나라의 과학
이상한 나라의 과학
태권V와 명랑소녀 국민 만들기
태권V와 명랑소녀 국민 만들기
현재 40~50대들이 어린 시절에 미래를 꿈꾸게 했던 잡지들은 어떤 내용이었을까. 1960~70년대 과학주의 담론이 잡지에 어떻게 반영돼 아동,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 책들이 속속 나와 주목받고 있다. 문학평론가 한민주 박사의 ‘이상한 나라의 과학’과 이선옥 숙명여대 교수의 ‘태권V와 명랑소녀 국민 만들기’가 대표적이다.

한 박사는 1952년 7월 창간해 1978년까지 나온 아동 월간잡지 ‘소년세계’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1960~70년대 한국은 과학이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보고 ‘과학입국’, ‘과학의 대중화’ 목소리를 높였다. 사회적으로는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미스터리하고 불가사의한 일에 관심을 가졌다. 이 때문에 아이들이 보는 잡지에도 세계 7대 불가사의, 풀리지 않는 기적, 세계의 수수께끼, 마의 삼각지대, UFO 등이 과학의 외피를 쓰고 특집으로 자주 다뤄졌다.

한 박사는 이런 유형의 미스터리물은 과학의 권위를 무력화하는 반과학의 특성과 냉전의 공포와 불안을 반영한 당대의 심리적 산물이라고 해석했다. 또 냉전체제에서 적성국이 사용하는 과학기술은 처참한 결과를 가져오지만 선한 나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나라에서 쓰는 과학은 인류 문명의 발전을 이끌 것이라는 반공 이데올로기가 포함된 내용도 반복적으로 등장해 아동의 정체성 형성에 긴밀하게 관여했다고 주장했다.
잡지 ‘학원’에 실린 ‘우주벌레 오메가호’ 7회 우주복(1967. 12)의 한 컷. 청소년 잡지에 실린 SF소설에는 기계장치나 우주복으로 신체를 강화하는 장면들이 많이 등장한다. 책과함께 제공
잡지 ‘학원’에 실린 ‘우주벌레 오메가호’ 7회 우주복(1967. 12)의 한 컷. 청소년 잡지에 실린 SF소설에는 기계장치나 우주복으로 신체를 강화하는 장면들이 많이 등장한다.
책과함께 제공
한편 이 교수는 1965년 창간해 1990년 폐간된 잡지 ‘여학생’과 1952년 창간해 1990년 폐간된 청소년 잡지 ‘학원’으로 과학주의 담론을 분석했다. 이 잡지들에서는 과학 관련 특집으로 우주식민지를 두고 미국과 소련의 대결, 제국주의적 팽창주의를 주로 다뤘다.

우주과학 담론의 주요 특징은 신체 변형과 증강으로 나타나는 사이보그적 상상력이라고 이 교수는 분석했다. 이를 통해 소년들은 미래 주역으로 특권화된 새로운 남성성을 갖추고, 소녀들은 감성적인 특성을 버리고 소년성을 갖는 등 남성 중심의 정체성을 가지라고 부추겼다고 해석했다.

이 교수는 “한국 과학기술 패러다임이 형성되는 1960~70년대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우리 삶을 구성하는 기술사회 출발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우리 사회의 기술 발전 방향과 속도 파악뿐만 아니라 현재 과학 교양교육이나 대중의 과학이해를 위해서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밝혔다.

2023-01-17 22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