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의 진화…다양한 색깔에 매운맛까지 조절

카레의 진화…다양한 색깔에 매운맛까지 조절

입력 2010-01-16 00:00
업데이트 2010-01-16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란색은 지겹다.”는 카레 광고 속 불평처럼 노란색 가루 일색이던 카레 시장에 고정관념을 깬 3세대 카레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일제 강점기인 1940년 ‘S&B’와 ‘하우스 카레’ 등 일본 제품이 한국에 처음 소개되면서 국내 카레의 역사는 시작됐다. 1969년 오뚜기는 한국 사람의 입맛에 맞춘 ‘분말 즉석 카레’를 내놓았고, 1년 만에 일본 제품을 압도하며 시장을 선도했다. 81년에는 뜨거운 물이나 전자레인지에 바로 데워 먹을 수 있는 레토르트 형의 ‘3분 카레’가 나왔다. 오뚜기의 ‘3분 카레’는 간편식으로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

형태는 분말형과 고형으로, 맛은 매운 맛·순한 맛 등으로 다양화되어 사랑받던 카레는 2001년 주성분인 강황이 암세포를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건강식으로 폭발적 인기를 끌었다. 2006년 600억원 규모였던 국내 카레 시장은 지난해 1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카레 시장이 커지자 다양한 입맛과 취향을 고려한 3세대 카레가 나오기 시작했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5월 인도식의 빨간색 카레 ‘인델리 커리’로 카레 색깔 혁명을 일으켰다. 대상은 취향에 따라 카레 맛을 조절할 수 있는 ‘카레여왕’을 최근 내놓았다. 구운 쇠고기 뼈를 기본으로 한 프랑스식 ‘퐁드보 육수’와 매운 맛을 조절하는 ‘스파이서’를 별도로 구성해 매운 맛 조절이 가능하도록 했다. 가루도 ‘스노 과립’ 형태로 끓는 물에 바로 녹는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1-16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