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회 육류 섭취 ‘심혈관 질환’ 적신호

주 5회 육류 섭취 ‘심혈관 질환’ 적신호

입력 2011-01-03 00:00
업데이트 2011-01-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사증후군 진단 남성들 경동맥내중막 두꺼워져

대사증후군을 가진 남성이 서구인들처럼 육류를 자주 섭취할 경우 심장에서 머리(뇌)로 혈류를 공급하는 목 부위 경동맥의 안쪽 벽(경동맥내중막)이 두꺼워져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높인다는 역학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경동맥내중막’의 두께는 심혈관질환의 중요 예측인자이다. 대사증후군은 몸에 좋은 고밀도콜레스테롤(HDL)의 혈중수치가 40㎎/㎤ 이하이면서, 혈압(130/85㎜Hg)·혈당(110㎎/㎗)·혈중 중성지방(150㎎/㎗)은 높고 복부비만(9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이 가운데 3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으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한다

연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김현창 교수팀은 2006∼2008년 사이 경기도 강화지역에 거주하는 40∼70세의 건강한 주민 2374명(남 933명, 여 1441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경동맥내중막의 두께를 조사한 결과, 남성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고 최근 밝혔다.

조사 결과, 대사증후군이 있으면서 육류를 주 5회 이상 섭취한 남성의 경동맥 두께는 다른 변수를 모두 보정했을 때 평균 1.03㎜로 나타났다.

이는 주1회 미만으로 육류를 섭취한 대조군의 0.92㎜보다 0.11㎜가 더 두꺼운 것이다. 보통 서구인의 경동맥 내벽 두께가 1∼1.3㎜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고기를 주 5회 이상 섭취하는 서구형 식습관이 한국인 남성의 혈관을 두껍게 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반면 대사증후군이 없는 남성은 주 1회(0.92㎜)나 주 5회(0.93㎜)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여성도 육류 섭취 빈도에 따라 경동맥 두께에 차이가 있었지만, 남성의 경우처럼 심하지는 않았다. 이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제1저자 오선민)은 대한예방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11-01-03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