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1917년 피부과서 시작한 한국 의료 ‘백년 금자탑’

[단독] 1917년 피부과서 시작한 한국 의료 ‘백년 금자탑’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7-05-03 23:44
업데이트 2017-05-04 01: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인 개설한 임상과목 첫 등장

오긍선 교수 피부질환 연구 시초
베체트병·아토피 등 치료법 도입
연세의대 9일 ‘100년 비전’ 발표
오긍선(오른쪽 두 번째) 세브란스 연합의학전문학교 피부생식비뇨기과 주임교수가 외래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모습. 오 교수는 1917년 피부생식비뇨기과를 개설하고 매독 등 성병 퇴치에 앞장섰다. 1934년에는 학교장에 취임했다. 연세의대 피부과학교실 제공
오긍선(오른쪽 두 번째) 세브란스 연합의학전문학교 피부생식비뇨기과 주임교수가 외래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모습. 오 교수는 1917년 피부생식비뇨기과를 개설하고 매독 등 성병 퇴치에 앞장섰다. 1934년에는 학교장에 취임했다.
연세의대 피부과학교실 제공
한국 의료가 드디어 100년 역사를 썼다. 1885년 미국 선교사 알렌(1858~1932)이 광혜원을 설립해 우리나라에 서양의학을 도입한 이래 외과 등 주요 임상과목 창설은 모두 선교사들이 담당해 왔다.

시간이 흘러 1917년 5월 세브란스 연합의학전문학교(현 연세의대)에서 오긍선(1878~1963) 교수가 ‘피부생식비뇨기과’를 만들고 과장 겸 주임교수로 부임하면서 한국인이 개설한 임상과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3일 연세의대에 따르면 국내 피부질환 연구의 역사는 연세의대 피부과학교실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 교수는 1924년부터 매독 연구에 집중해 처음으로 성병 환자 통계를 공개하며 공창(公娼)을 없애자는 ‘폐창’ 운동을 벌였다. 그는 국내 최초로 고아원과 양로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1983년에는 이성낙·방동식 교수가 난치성 염증 질환인 ‘베체트병’을 치료하는 전문클리닉을 열었다. 입안과 눈, 각종 장기에 궤양이 생겨 실명하기도 하는 무서운 병이지만 이전에는 병의 치료는커녕 명확한 진단을 내려 줄 전문의조차 드물었다.

1984년에는 박윤기 교수가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자외선 치료기를 이용해 건선과 백반증을 치료하는 ‘광선 치료법’을 도입했다.

대표적인 난치성 피부질환인 ‘아토피 피부염’ 완치도 현실화됐다. 1995년 이광훈 교수는 아토피 피부염의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보고 ‘면역치료’를 도입해 최근까지 800여명의 환자를 치료했다. 면역치료는 알레르기 질환 원인 물질(알레르겐)을 환자에게 소량씩 투여해 과민반응을 줄이는 치료법이다.

정기양 연세의대 피부과학교실 주임교수는 “이 교수는 현재 정부에서 50억원을 지원받아 전량 수입하고 있는 고가의 알레르겐을 국산화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 환자들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교수도 피부암 치료법 중 완치율이 가장 높고 5년 내 재발비율이 3% 미만인 ‘모즈미세도식수술’을 도입해 국내 최초로 2000건이 넘는 수술을 집도했다. 이승헌 교수는 국내 최초로 ‘피부장벽학’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각질층 손상과 회복에 대한 기전을 밝혀내 눈길을 끌었다.

온몸에 물집이 생겨 고통을 호소하는 ‘천포창’은 유일하게 강남세브란스병원 피부과에만 클리닉이 있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지난해 세브란스병원을 찾은 피부과 환자는 10만 3000명, 강남세브란스병원은 4만 8000명으로 국내 대학병원 중 가장 많았다.

한편 연세의대 피부과학교실은 오는 9일 연세대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창립 100주년 기념식을 갖고 ‘난치성 피부질환 정복’을 목표로 한 비전을 발표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7-05-04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