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달콤한 사이언스] 색깔 구분하는 능력 타고난다

[달콤한 사이언스] 색깔 구분하는 능력 타고난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05-10 01:00
업데이트 2017-05-10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람이 색깔을 구분하는 능력은 타고나는 것일까, 아니면 성장하며 배워 가는 것일까. 심리학과 생물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돼 온 문제다.

●빨·파·녹·노·자주 5가지 색 인식

영국 서식스대 인지심리학부와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UC버클리) 컴퓨터인지과학부 공동연구진이 그 해답의 하나를 내놨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빨간색, 파란색, 녹색, 노란색, 자주색의 5가지 색깔을 인식할 수 있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문화나 언어의 영향을 받아 색을 세분화하거나 통합해 인식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진의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에서 발행하는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PNSA’ 8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색맹이나 색약이 없는 생후 4~6개월 된 유아 176명을 대상으로 320가지 색상을 보여 주는 실험을 했다. 가로세로 각각 50㎝ 크기의 창문 2개를 만든 다음 창의 색깔을 조금씩 바꾸면서 눈동자와 행동 변화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색상 구분 여부를 확인했다.

●태어난 문화권과는 상관없어

그 결과 태어난 문화권과는 상관없이 320개의 색깔을 빨간색, 파란색, 녹색, 노란색, 자주색이라는 5가지 범주로 구분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는 유아들이 자신의 언어를 배우기 전에 그들이 갖게 될 개념의 기본 요소를 갖고 태어난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주황색의 경우 채도와 상관없이 유아들은 노란색으로 인식했다.

애나 프랭클린 서식스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색깔을 인식하고 구분하는 능력이 언어나 문화를 통해 후천적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생물학적으로 타고나는 것임을 알 수 있게 해 줬다”며 “인식이라는 차원에서 문화와 의사소통이 생물학과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마련한 연구”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7-05-10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