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남성 중심의 언어, 여검사/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남성 중심의 언어, 여검사/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2-07 23:06
업데이트 2018-02-08 0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남녀’란 말에는 남성 중심적 생각이 들어 있다. 희미해져 알아채기 쉽지 않지만, 남성이 먼저라는 의식이 반영돼 있다. 반대였다면 ‘여남’이었을 것이다. 왔다 갔다 하며 대등한 관계였다면 ‘남녀’와 ‘여남’이 섞여 쓰이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일부 표현에서는 남성이 중심이고 따라서 대표성을 갖는다는 의식을 확인시킨다. ‘소년체육대회’라 하고 ‘소년법’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소년체육대회에는 ‘소녀’들도 참가하지만 ‘소녀’들이 가려진 것이다. 일상의 말에서 ‘소년’은 여자아이를 포함하지 않는다. ‘소년체육대회’와 ‘소년법’에서는 ‘소년’이 ‘소녀’까지 대신한다. 그렇다고 누구도 불합리하다고 하지 않는다. 당연한 것이라 여겨서 그렇다. ‘청년’은 상대어도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렇다 보니 여성이 드러날 때는 굳이 ‘여’를 붙이는 일이 흔하다. ‘여검사’, ‘여교사’, ‘여대생’이 된다. 이런 표현은 검사, 교사, 대학생으로서보다 먼저 ‘여성’으로 본다는 의식이 반영된 결과다.

일상에서 ‘여검사’나 ‘여교사’로 부르는 일은 드물다. 공적인 공간에서는 이렇게 부르는 일이 흔하다.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여’를 빼고 말하는 게 더 자연스럽고 적절할 때가 많다.

굳은 남성 중심적 표현을 바꾸기는 어렵다. 바꾼다고 생각이 달라진다는 것도 보장할 수 없다. 그러나 알고 의식하는 건 변화의 뿌리가 된다.

wlee@seoul.co.kr
2018-02-08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