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노인>유소년… 늙는 한국, 총인구 2032년부터 꺾인다

노인>유소년… 늙는 한국, 총인구 2032년부터 꺾인다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8-03-22 23:34
업데이트 2018-03-23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2017 한국 사회지표’

작년 5144만명·증가율 0.39%
생산인구 15~64세 감소 시작
출산율 최저… 고령화 가속
미혼여성 절반 이상 ‘비혼족’

지난해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가 처음으로 유소년 인구보다 많아졌다. 지난해부터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저출산 기조가 지속될 경우 2032년을 기점으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가 감소하고 2050년에는 5000만명 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7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고령인구(65세 이상)가 13.8%로 유소년(0~14세)을 0.7% 포인트 추월했다. 주요 출산 연령대에서 결혼과 출산이 감소하고 의료기술 발달로 평균수명은 늘어났다.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지난해 13.8%에서 2030년 24.5%, 2040년 32.8%, 2060년에는 41.0%까지 늘어난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성장률은 2032년 0%를 기록한 뒤 2040년 -0.32%, 2060년 -0.97% 등으로 인구감소에 가속도가 붙는다”면서 “총인구는 2040년 5219만명에서 2050년에는 4943만명으로, 다시 2060년에는 4524만명까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5144만 6000명, 인구성장률은 0.39%를 기록했다. 또한 우리나라 중위연령은 이미 2014년(40.3세) 40세를 넘어섰고, 2017년에는 42.0세를 기록했다. 2033년(50.3세)에는 50세를 넘어선다.

계층 상승 희망도 점차 사라지고 있다. 자식 세대의 계층 이동 상승성에 대해 ‘낮다’고 응답한 비율은 54.5%로 2년 전보다 3.9% 포인트 올랐다. 자식 세대의 계층 상승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비율은 2013년 43.7%에 불과했지만 4년 만에 10% 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특히 스스로 상층이라고 답한 경우 61.1%가 본인 세대 계층 이동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다. 반면 하층이라고 답한 경우에는 13.9%만 계층 이동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저출산 현상은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지난해 첫 자녀를 출산한 여성의 평균 연령은 31.4세로 전년 대비 0.2세 상승했다. 또한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 출산 연령대인 30대 초반의 출산율은 -12.4명으로 가장 크게 감소했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51.9%로 점점 감소하는 추세다. 미혼 여성 중에서는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한 비율이 59.5%에 달했다.

이 밖에 질병이나 사고로 병치레를 하는 유병 기간을 제외한 기대수명은 64.9세로 조사됐다. 남자가 64.7세, 여자가 65.2세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03-23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