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 대신 훈민정음 해례본이 국보1호 돼야”

“숭례문 대신 훈민정음 해례본이 국보1호 돼야”

입력 2016-01-12 15:21
수정 2016-01-12 15: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민단체 ‘문화재제자리찾기’,문화재청에 건의서 13일 제출키로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해례본
시민단체들이 우리나라 국보 1호를 숭례문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내용의 건의서를 문화재청에 제출키로 했다.

시민단체 ‘문화재제자리찾기’와 ‘우리문화지킴이’는 오는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시민청에서 숭례문을 국보 1호에서 해지하고 훈민정음 해례본을 대신 지정하자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연다고 12일 밝혔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후 문화재청에 ‘숭례문 국보 1호 해지 및 훈민정음 해례본 국보 1호 지정 건의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숭례문은 1934년 국보 1호로 지정됐으나 일제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고 2008년 불에 탄 후 부실복원 논란까지 발생하면서 일각에서는 국보 1호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11월 6일 ‘문화재지정번호제도 운영 개선방안’ 공청회를 열기도 했다. 문화재제자리찾기는 “당시 공청회에서 국보번호제 개선에 최소 130억~최대 450억원이 든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며 “그렇다면 숭례문을 국보 1호에서 해지하고 대신 훈민정음 해례본을 지정하는 게 현명한 것 같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지반침하 예방 제도개선 3종 세트’ 상임위 통과

연이은 지반침하 사고로 시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위원장 강동길)는 지난 22일과 23일 제330회 임시회 도시안건설위원회(이하 ‘도안위’) 제1차 및 제2차 회의를 열어 지반침하 예방 제도개선안 3종 세트를 전격 통과시키고,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가칭)지반침하 관리지도’의 신속한 완결 및 투명한 공개를 강력히 촉구했다. 도안위가 심사해 통과시킨 지반침하 예방 제도개선 3종 세트를 살펴보면 첫째는, 지반침하 발생 시 대형 땅꺼짐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하개발공사와 관련하여 지하개발공사의 굴착영향범위※ 이내에서 지반이나 시설물의 중대한 변형(판단기준은 시장이 정함) 즉, 전조증상이 발견되거나 이와 관련한 신고 또는 민원이 발생했을 때는 지체없이 현장(지하개발 공사장 포함)을 확인하고 일시적인 공사중지 또는 주변 도로의 교통통제 여부를 검토하여 신속히 조치 또는 관계기관에 협조 요청토록 의무화하는 ‘서울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다. ※ 굴착영향범위: 지하안전평가에서 설정한 지하개발의 영향을 받는 인근지역의 범위 이 조례안은 지하개발공사 현장 주변에서 만일의 대형 땅꺼짐 사고가 발생하더
thumbnail -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지반침하 예방 제도개선 3종 세트’ 상임위 통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