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개척(하)]“항해기술등 집중 연구…9월중 현지탐사 계획”

[북극항로 개척(하)]“항해기술등 집중 연구…9월중 현지탐사 계획”

입력 2010-01-07 00:00
업데이트 2010-01-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길수 북극항로연구센터장

“북극해의 상용항로에 대비해 다양한 연구를 할 계획입니다. 미지의 항로를 개척한 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가슴 벅찬 일이지요.”

이미지 확대
김길수 북극항로연구센터장
김길수 북극항로연구센터장
최근 문을 연 한국해양대 북극항로연구센터장 김길수(53·해사수송과학부) 교수는 6일 “연구센터는 북극항로 이용에 관한 기술적·경제적, 법률문제 등에 대한 연구 및 검토 등의 과업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센터에는 ▲빙해역 항해기술 분과 ▲선체구조 안정성 평가분과 ▲저온용 선박 장비 개발분과 ▲국제법률 검토분과 ▲물류운송 경제성 평가분과 ▲항로 및 국제협력 분과 등 6개 분과에 34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진은 앞으로 ▲빙하가 녹아 떠다니는 북극해를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항해기술 ▲선체구조 연구와 초저온 상태에서 안전하게 선박을 운항할 수 있는 장비개발 ▲북극항로 주변 이해관계국 간 다툼을 막을 수 있는 국제해양법 연구 ▲북극항로를 이용한 화물운송 경제성 평가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를 하게 된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이를 위해 오는 9월 예정인 국내 첫 쇄빙선 아라온호 북극 탐사 때 연구진의 동승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과도 협력 관계를 구축해 공동 연구를 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국적선이 원활하게 북극항로를 운항할 수 있도록 돕고 국가정책 결정에 필요한 핵심정보도 제공할 방침이다.

또 러시아 일본 등 주변국과도 정보 공유를 위한 접촉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국내 처음으로 한국 해양대에 북극항로 연구센터가 설립된 것은 북극항로가 최근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새로운 물류 루트로 떠오르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센터 설립에는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낸 오거돈 해양대 총장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 가능했다.”고 귀띔했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
2010-01-07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