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아킬레스건 티베트를 가다] 티베트인-한족 고원지대 상권 갈등

[중국의 아킬레스건 티베트를 가다] 티베트인-한족 고원지대 상권 갈등

입력 2010-07-07 00:00
업데이트 2010-07-0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발 높을수록 고임금” 10년새 한족 급증

남초 호수 상가에서 간단한 음식과 음료수 등을 파는 구멍가게 주인 슝자화(熊家華·37)는 티베트와 접해 있는 쓰촨성 출신 한족이다. 10여년 동안 창(長)강 삼각주 지역인 저장성에서 농민공(농촌 출신 도시 일용직 노동자)으로 일해 번 돈으로 지난해 이곳에 가게를 열었다. 임차료는 연간 1만위안(약 180만원)이다. 추위 탓에 1년에 다섯달만 영업할 수 있지만 한달 평균 1만위안 이상을 번다고 한다. 임차료를 제외하고도 4만위안 이상을 번다는 얘기다. 슝자화는 “가게 문을 닫는 기간에는 고향에 돌아가 다른 일을 한다. 농민공 시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벌고 있다.”며 흡족해했다.

티베트에 대한 관광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수많은 한족이 몰려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통계는 없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티베트의 상주인구는 256만명에서 290만명으로 34만명 증가했다. 티베트인과 다른 소수민족이 95%를 차지한다는 통계만 있을 뿐 한족이 얼마나 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통계대로라면 한족은 5%, 14만 5000여명인 셈이다.

그럼에도 라싸 등 티베트의 도시에서 한족의 비중은 현지인인 티베트인을 압도하는 듯 했다. 왜, 그들은 해발 4000~5000m의 고원지대로, 숨쉬기조차 힘든 티베트 땅을 밟는 것일까. 역시 쓰촨성에서 왔다는 한 한족 안마사는 이런 얘기를 들려줬다. “해발이 높으면 임금도 높다.” 올 초 라싸(拉薩)를 거쳐 인구 10만명의 시가체(日喀則)에 발을 들여놓은 그는 “고향에서 일할 때보다 임금을 갑절로 받고 있다.”고 말했다.

티베트인들의 불만은 높다. 지난 2008년 3·14 유혈시위 당시 티베트인들은 라싸의 한족 상인들을 표적으로 삼아 폭력을 휘둘렀다. 높은 수입을 찾아 티베트 고원을 찾는 한인들과 고향을 떠나기 힘든 티베트인들 사이의 갈등이 처음으로 표면화된 것이다.

중국 공산당 중앙통일전선공작부 야오마오천(姚茂臣) 부국장은 “모든 국가, 어떤 지역이든 문제는 있다.”면서도 “자유왕래는 국민의 권리”라며 한족의 자연스러운 티베트 유입을 막을 계획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라싸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0-07-07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