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서 외친 무오독립선언… 도쿄선 2·8독립선언

만주서 외친 무오독립선언… 도쿄선 2·8독립선언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2-24 21:16
업데이트 2019-02-25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중·일에 울려퍼진 독립 열망

이미지 확대
1919년 3월 1일 만세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이 조선의 독립을 선언한 3·1 독립선언서. 조선이 독립국이자 조선인이 자주민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독립기념관 제공
1919년 3월 1일 만세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이 조선의 독립을 선언한 3·1 독립선언서. 조선이 독립국이자 조선인이 자주민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독립기념관 제공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경신학교 졸업생 정재용이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기미독립선언)를 읽었다. 이를 시작으로 만세 시위가 한반도 전역과 한인이 거주한 세계 곳곳으로 이어졌다. 이날이 있기까지 2개의 독립선언이 있었다. 최초의 독립선언인 ‘무오독립선언(대한독립선언)’, 그리고 일본 유학생들이 일본제국주의 심장 도쿄 한복판에서 외친 ‘2·8 독립선언’이다.

무오독립선언은 1919년 2월 1일 중국 만주 지린에서 독립운동가 39명이 발표한 독립선언이다. 조소앙이 기초했다. 이날은 음력으로 기미년인 1919년 1월 1일로, 선언서 작성과 서명이 그 이전에 이루어졌음을 고려해 ‘무오독립선언’으로 불린다. 사기와 강박으로 이뤄진 일본과의 병합(한일병합조약)은 무효이며, ‘육탄혈전’으로라도 독립을 쟁취하겠다는 내용을 담았다.

조소앙은 무오독립선언 뒤 일본 도쿄로 건너가 유학생 이광수, 백관수 등과 만나 2·8 독립선언을 발표하도록 북돋아줬다. 와세다대 철학과 학생이던 이광수는 중국 베이징에서 체류하다가 제1차 세계대전 휴전,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발표 소식을 듣고 서울로 와 현상윤, 최린과 독립운동을 논의했다. 이광수는 1918년 11월 와세다대 정경과 학생 최팔용을 만나 결의를 밝히고, 2·8 독립선언 원문을 쓰고 영문으로 번역했다. 한일합방이 한국민의 뜻에 반하는 것인 만큼 일본은 한국을 독립시키고 미국과 영국은 일본의 한국 합병을 승인한 것에 대해 속죄할 것, 이에 응하지 않으면 우리 민족이 생존을 위해 자유행동을 취해 독립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이다.

학생들은 도쿄 동경조선기독교 청년회관 강당에서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거리로 나가 시위를 벌일 계획이었지만, 일본 경찰이 들이닥치면서 무산된다. 이 일은 조선을 비롯해 외국에 널리 알려졌고 3·1 독립선언의 도화선이 됐다.

장세윤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은 “3개의 독립선언을 발표한 이들의 네트워크, 독립 이후 민주공화정을 지향하는 이념이라는 측면에서 3개의 독립선언은 사실상 연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2-25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