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짝퉁 코리아] 진짜? 가짜? 전문가도 분간 어려워… 명품 감별사까지 등장

[커버스토리-짝퉁 코리아] 진짜? 가짜? 전문가도 분간 어려워… 명품 감별사까지 등장

입력 2013-01-12 00:00
업데이트 2013-01-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의 짝퉁 수준은

외국인들이 일부러 모조품 쇼핑을 올 만큼 한국의 가짜 명품 제조 수준은 불명예스럽게도 높은 편이다. 가짜가 판을 치다 보니 진짜라고 여기고 산 명품이 짝퉁인 경우도 있다.

하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명품이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알아보려고 백화점에 가면 “이 제품은 저희 매장 제품이 아닙니다”라는 이상의 답변을 듣지 못한다. 그래서 명품 감별사까지 등장했다.

전문가들은 최고 수준의 가짜 명품은 한국으로부터 주문을 받아서 주로 중국에서 만들어진다고 말한다. 10년 이상 짝퉁 관련 사건을 담당해 온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의 한 수사관은 “국내 단속이 심해지면서 짝퉁 기술자와 제조책들이 중국으로 넘어갔다”면서 “중국에 노하우를 전수해 주면, 전문가들도 겉모양만으로는 분간하기 어려운 제품들을 만들어 낸다”고 말했다.

명품 감정회사 마이스타우트를 운영하는 조진석 대표는 “2009년과 2010년을 기점으로 가짜 명품이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바뀌면서 재질은 물론 최근에는 부속품까지 상당히 정교하게 나오고 있다”면서 “보통 사람은 진품과 가품을 구분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진품과 가품을 구분할 수 있을까. 일단 높아진 가품의 수준을 생각했을 때 확실한 유통 경로를 통해 물건을 구입하는 것이 가품을 사지 않는 방법이라고 말한다. 서울청 수사관은 “오픈마켓 등을 통해 병행수입을 했다고 하면서 매장보다 50~70% 싸게 판다고 하는 것은 거의 가짜”라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정식 매장에서 사는 것”이라고 전했다. 조 대표도 “병행수입을 제대로 하는 업체의 경우 큰 문제가 없지만 외국의 아웃렛이나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구매대행을 하는 경우에는 가품이 섞여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설명했다.

제품을 꼼꼼히 관찰해도 가짜인지를 알 수 있다. 조 대표는 “먼저 제품의 냄새를 맡아 보면 아주 정교한 가품을 제외하고는 접착제에서 나는 포르말린이나 석유제품 냄새가 강하게 나는 경우가 많다”면서 “또 더스트백과 포장상자 등을 꼼꼼하게 살피면 진품과 차이가 난다”고 전했다.

이어 “밖에서 표시가 나지 않더라도 지퍼나 가죽의 각인 등을 꼼꼼하게 살펴보면 가품은 조잡한 경우가 많다”면서 “가방 내피의 경우에도 가품에 쓰이는 천은 힘이 없는 반면 진품의 것은 약간 딱딱한 느낌을 준다”고 설명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3-01-12 1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