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한국 시집온 베트남 여성의 꿈… 1년 만에 악몽으로

[커버스토리] 한국 시집온 베트남 여성의 꿈… 1년 만에 악몽으로

입력 2013-05-04 00:00
업데이트 2013-05-04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널 얼마에 데려왔는데” 나를 집에 가둬둔 남편 난, 가출밖에 할게 없어

3일 경기 안산의 한 휴대전화 매장에서 판매원으로 일하고 있는 응우옌. 행복한 결혼 생활을 꿈꾸며 한국 땅을 밟았지만 계속되는 남편의 폭력에 가출을 선택했다.
3일 경기 안산의 한 휴대전화 매장에서 판매원으로 일하고 있는 응우옌. 행복한 결혼 생활을 꿈꾸며 한국 땅을 밟았지만 계속되는 남편의 폭력에 가출을 선택했다.
2006년 12월. 스무살이 되던 해 응우옌(26·베트남)은 얼굴도 모르는 남편을 만나려고 한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응우옌은 TV 속 한국 드라마의 따뜻하고 자상한 한국 남자를 상상했다. 한국으로 시집가면 부자 남편과 남부럽지 않게 살 수 있다는 고향 언니들의 말도 떠올렸다. 결혼할 사람은 서울에서 노래방을 운영하는 부자라고 했다. 그러나 꿈은 악몽으로 변했다.

“내가 너를 얼마에 데려왔는데 이년아. 넌 평생 벌어도 만져 보지도 못할 돈이야. 뭘 그렇게 쳐다봐!”

18살 차이가 나는 남편은 외출 자체를 못 하게 했다. 한국어 교실에 나가고 싶다고 해도 “돈이 드니 안 된다. 어디를 도망가려 하느냐”고 소리를 질렀다. 한국말을 못 알아듣는다며 남편과 시어머니는 응우옌에게 걸핏하면 욕설을 퍼부었다. 남편은 술만 마시면 손찌검을 했다. 비 오는 날 두들겨 맞고 거리로 내쫓기기도 여러 번이었다. 함께 사는 시어머니는 늘 못 본 체했다.

이국에서 응우옌에게 허락된 유일한 공간은 인터넷뿐이었다. 남편과 시어머니가 외출하면 응우옌은 베트남어로 채팅이 가능한 ‘깻방’에 접속했다. 베트남어로 누군가와 말을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위안이 됐다. 깻방은 베트남 결혼 이주 여성들의 이야기로 가득했다. 응우옌처럼 맞거나 갇혀 살다 가출하는 등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이 많았다.

응우옌은 깻방에서 새로운 꿈과 용기를 얻었다. 감옥 같은 집을 탈출하면 뭘 하든 먹고살 수는 있을 것 같았다. 식당 일을 하면서 베트남 가족들에게 돈을 부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2007년 12월 응우옌은 잠옷 바람으로 가출했다. 결혼 1년 만이었다. 수중에는 단돈 800원이 전부였다.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한 공장이 그의 새로운 터전이 됐다. 깻방에서 소개받은 일자리였다. 매일 12시간씩, 시급 4500원을 받고 일하지만 마음만은 편했다. 이혼하면서 한국어도 배울 수 있게 됐고 가고 싶은 곳에 갈 수도 있게 됐다.

응우옌은 “현미경으로 휴대전화 부품을 일일이 점검하는 일을 해서 늘 눈이 아프고 머리가 어지러웠지만 갇혀 살았던 결혼 생활보단 낫다”면서 “7년이나 지났지만 지금도 그때를 떠올리면 가슴이 너무 아프다”고 했다. 2010년에 그는 공장을 나와 휴대전화 판매원으로 취직했다.

“그땐 한국말도 서툴러서 맨날 벌벌 떨고 울었어요. 달려들고 소리 지르고 때리니까요.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가출밖에 없었던 것 같아요. 그냥 저는 행복하게 살고 싶었을 뿐인데….”

글 사진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3-05-04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