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신 키운 ‘SG·김남국’… 청년 94% “주식·코인시장 조작당해”[2023 청년 부채 리포트(상)]

불신 키운 ‘SG·김남국’… 청년 94% “주식·코인시장 조작당해”[2023 청년 부채 리포트(상)]

송수연 기자
송수연, 유규상 기자
입력 2023-08-22 17:51
업데이트 2023-08-22 22: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투자 시장 청년 인식

수천억원 부당이익 챙긴 SG사태
주식시장 신뢰 낮아 큰 영향 없어
청년들 김남국 코인 논란에 ‘충격’
“불신” 60%·“상대적 박탈감” 45%

82.8% “투자, 그만둘 생각은 없어”
전문가 “부동산은 진입 장벽 높아
자산 늘리는 수단은 주식·코인뿐”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2030 청년 세대 10명 중 9명은 현재 국내 주식 시장과 암호화폐(코인) 시장에서 주가 조작이나 시세 조종이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 김남국(오른쪽) 의원의 코인 보유 논란을 계기로 시장을 향한 불신이 심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이 지난달 25일부터 지난 10일까지 만 19~39세 청년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보면 전체 응답자 중 93.7%

(281명)가 ‘주식 시장에서 미공개 정보를 통한 불공정거래 행위, 주가 조작 등이 현재도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미공개 정보 등을 통한 시세 조종 행위가 코인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청년도 93.7%(281명)에 달했다.

이 같은 불신은 최근 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 김남국 의원의 코인 보유 논란을 겪으면서 깊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는 라덕연(왼쪽·42) 전 H투자자문사 대표 등 일당이 주가 조작을 통해 수천억원대의 부당이익을 취한 혐의를 받는 사건이다. 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를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133명) 중 65.4%(87명)가 사건 이후 ‘주식 시장에 대한 신뢰가 더 떨어졌다’고 답했다.

주가 폭락 사태 이후에도 ‘주식 시장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46명) 중 47.8%(22명)는 ‘원래 주식 시장에 대한 신뢰가 낮았다’고 밝혔다. 애초 주식 시장에 대한 신뢰가 없었기 때문에 주가 폭락 사태가 별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얘기다.

수십억원어치의 코인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된 김남국 의원 사태에 대한 청년층의 실망은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김남국 사태 이후 코인 시장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다’고 답한 사람은 김남국 사태를 인지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194명) 중 57.7%(112명)로 집계됐다.

김남국 의원 사태에 대한 감정을 ‘놀라움, 불신, 체념, 배신감, 상대적 박탈감’으로 나눠 살펴봤을 때는 ‘불신’과 ‘상대적 박탈감’을 느꼈다고 답한 응답자가 많았다. 김남국 사태를 보며 불신의 감정이 들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이다’라고 답한 사람은 각각 24.2%(47명), 35.6%(69명)로 집계됐다. 상대적 박탈감이 들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이다’라고 답한 사람도 각각 14.9%(29명), 30.4%(59명)로 조사됐다.

다만 주식과 코인 시장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음에도 응답자 상당수는 ‘투자를 그만둘 생각이 없다’고 답했다. 10명 중 7명은 투자를 통해 계층 상승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믿고 있었고, 주식이나 코인 투자가 자산을 불릴 기회라고 생각했다.

주가 폭락 사태로 주식 시장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다고 답한 청년 87명 중 82.8%(72명)가 ‘투자를 그만두거나 그만둘 생각이 없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 ‘자산을 불릴 몇 안 되는 기회인 것 같다’고 답한 사람이 29.2%(21명)로 가장 많았다. 주식과 코인이 ‘부동산 등 다른 재테크보다 진입 장벽이 낮다’고 응답한 사람이 27.8%(20명),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했다’고 응답한 사람이 16.7%(12명)로 뒤를 이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부동산은 이미 값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청년들이 섣불리 접근하기 어렵고, 예금은 금리가 올랐다고 하지만 실질 금리로 치면 이윤이 높지 않다”면서 “불신이 있더라도 결국 현실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단이 주식이나 코인 투자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주식이나 코인) 투자가 계층 상승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여기는 사람은 전체 응답자 300명 중 70.3%(211명)였다. 투자가 계층 상승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데 동의하지 않은 사람은 17.0%, ‘모르겠다’고 답한 사람은 12.7%였다.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자한 분야(중복 답변 가능)로 ‘주식’을 꼽은 사람이 전체 응답자의 60.7%(182명)로 가장 많았다. 코인에 투자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16.3%(49명)였으며 펀드(12%), 부동산(11.7%) 등이 뒤를 이었다. ‘현재 투자하고 있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는 31.0%(93명)였다.

또 전체 응답자 중 48%(144명)는 ‘주식이나 코인 가격 급등으로 인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송수연·유규상 기자
2023-08-23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