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 품은 우리 동네] ‘都·農 조화’ 광주 남구

[길을 품은 우리 동네] ‘都·農 조화’ 광주 남구

입력 2012-06-27 00:00
업데이트 2012-06-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쪽엔 ‘광주의 대치동’ 다른쪽엔 전통문화 그대로

광주광역시 남구는 1995년 3월 새로 생긴 자치구다. 광주의 도심 주택가, 도심 상권으로 이뤄진 서구 일부와 벼농사를 주업으로 삼는 광산구 일부가 합쳐졌다. 도시 생활과 농촌공동체 생활이 어우러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는 길 이름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호사가들이 ‘광주의 대치동’이라 일컬을 정도로 학부모들의 교육열이 뜨거운 곳이 봉선동이다. 교육1번지 봉선동에는 봉선중앙로가 있다. 대남대로에서 내려온 봉선중앙로를 축으로 봉선1로, 봉선2로가 가로질러져 있다. 그 주변으로 초·중학교와 각종 학원들이 모여 있고, 비교적 고급스러운 아파트 단지들이 밀집해 있다.

반면 차로 10분 남짓만 가도 농촌의 전통문화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국가지정 무형문화재 33호인 광주칠석고싸움놀이는 고싸움로라는 이름에 투영돼 이어져 오고 있다. 상촌, 하촌으로 나누던 마을의 기가 세서 그것을 누르기 위해 비롯된 놀이였다. 매년 정월대보름이면 열렸던 행사로, 지금도 정월대보름마다 주민들이 모여서 고싸움놀이를 즐기고 있다. 고싸움로가 시작하는 길 오른쪽에는 고싸움전수관(고싸움로 2번)이 있어 문화재로서 고싸움놀이, 삶으로서 고싸움놀이의 배경과 의미 등을 꼬박 기록하고 있다. 남구는 현재 칠석동을 민속마을로 가꿀 것을 추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지산재, 농막재, 상신재 등 저수지의 이름을 딴 길들이 곳곳에 있다. 농경사회를 반영한 것들이다.

이렇듯 광주의 서구, 남구, 동구를 가로지르는 대남대로에서 뻗어 내려간 8020m의 서문대로가 남구 안에서 이질적일 수도 있는 두 생활권을 하나로 이어주고 있다.

광주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2-06-27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