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감에 짓눌린 20대 10만명…심리적 위축·불안감 SNS 공유

우울감에 짓눌린 20대 10만명…심리적 위축·불안감 SNS 공유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9-07-29 22:02
업데이트 2019-07-30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0년대생 상담서비스 익숙… 정신보건 아닌 심리지원 시스템 필요

“하루에도 몇 번씩 모든 걸 놓아 버리고 싶은 생각에 사로잡히지만 오늘도 이렇게 버텨냈네요. 힘내요 우리.”

정예원(25·가명)씨는 오늘도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우울증툰’에 댓글을 꾹 눌러 적었다. 웹툰이라고 해봐야 몇 줄의 짧은 글귀와 단순한 그림으로 채워진 한두 페이지가 전부다. 하지만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작가가 우울과 싸우며 삶을 이어 가는 이야기에 정씨는 단 한 번도 빼놓지 않고 댓글을 단다.

늘 돈이 부족한 상태로 대학을 다니며 의기소침했던 정씨는 졸업 후 1년 가까이 취업이 되지 않으면서 자존감이 나락으로 떨어졌다. 심리상담센터에서는 정씨에게 “우려할 수준의 우울 증상”이라고 진단했다. 정씨는 고향에 있는 가족이나 친구들 대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마음을 털어놓고 있다. 잠이 들기 전 SNS에서 우울증을 극복해가는 일기나 심리에 대한 짧은 글귀 등을 찾아 읽는 것이 가장 큰 위안이다.

20대의 마음의 건강은 여느 세대보다도 가파른 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질병통계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은 20대는 2012년 5만 2793명에서 지난해 9만 8434명으로 6년 사이 86.5%나 증가했다. 이 기간 동안 세대별 우울증 환자 증가율은 10대 39%, 30대 25%, 40대 13%, 50대 2%로 20대의 증가율이 가장 높다.

지금의 20대인 1990년대생들은 어린 시절부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을 것을 요구받은 세대다. 20대 실업률이 10%에 육박하면서 이들은 경제적 어려움과 미래에 대한 불안에 시달린다. 어렵게 들어선 일터에서도 가장 ‘약한 고리’인 탓에 숨통조차 트기 어렵다. 기성세대들의 “나약하다”는 핀잔은 이들을 심리적으로 고립시키고, 이는 90년대생들의 우울감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20대 우울증 환자가 급증한 이면에서 우울증을 대하는 90년대생들의 태도에 주목한다. 김지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90년대생들은 초·중·고등학교에 ‘wee클래스’라는 상담 시스템이 갖춰진 시기에 학교를 다녀 상담 서비스를 찾는 데 익숙하다”면서 “기성세대에 비해 20대들은 심리적 어려움이 있을 때 더욱 적극적으로 병원을 찾는다”고 설명했다.

SNS를 통해 자신을 드러내는 데 익숙한 90년대생들은 주변 사람들 대신 SNS로 소통하며 우울감을 극복해 나가기도 한다.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는 ‘우울증툰’ ‘우울글귀’ 등의 해시태그를 달고 우울증과 싸우고 있거나 극복한 경험을 담은 웹툰과 메모 등이 쏟아진다. 유튜버들이 우울증 경험을 동영상으로 고백하기도 한다.

우울증을 대하는 90년대생들의 남다른 태도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심리적 지원에도 새로운 접근을 요구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우울감의 정도가 낮더라도 심리상담 서비스를 받거나 타인과 소통하려는 욕구가 높은데도, 기존의 심리지원 시스템은 이들을 환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방치하기 쉽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20대들의 심리적 지원에 대한 욕구는 다층적이지만 정신보건에 방점이 찍힌 현재의 시스템은 이를 충족시켜 주지 못한다”면서 “청년을 위한 사회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심리지원 서비스가 중요한 축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9-07-30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