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방송 소속 탈북자 특파원 납북”

“대북방송 소속 탈북자 특파원 납북”

입력 2010-04-17 00:00
업데이트 2010-04-17 2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탈북자들이 운영하는 대북 단파 라디오인 ‘자유북한방송’ 소속 탈북자가 북중 국경에서 북한 당국에 붙잡혀간 것으로 전해졌다.

자유북한방송의 김성민 대표는 17일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우리 방송의 중국 단둥 특파원으로 일하던 탈북자 출신 남한 국민 이모(50)씨가 지난 2월 19일 오후 9시께 단둥 압록강변에서 북한 공안 당국에 붙잡혀 배로 북한 쪽으로 끌려갔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북한 내부 통신원으로부터 이 같은 소식을 확인했다”면서 “이씨는 북한에 두고 온 아내와 아들이 중국 쪽으로 건너오기를 기다리고 있었으며 북한 쪽으로 건너간 게 아니라고 한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북한 공안 당국이 이미 이씨가 우리 방송 소속이라는 사실을 파악했고 조만간 정탐행위를 하기 위해 들어왔다는 내용을 발표하려 한다는 소식도 전해들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김 대표로부터 이씨의 실종 신고를 받고 북한이 지난 2월 억류 중이라고 발표한 ‘남한 국민 4명’에 이씨가 포함되는지를 확인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2월 26일 “불법 입국한 4명의 남조선 주민을 관계기관이 억류해 조사하고 있다”고 전하면서도 억류 중이라는 남한 주민의 신원과 입북 경위 등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어 북한은 지난달 23일에는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 대변인 담화를 통해 탈북자들이 관련된 대북 매체와 단체를 거론하며 “앞으로 민족의 준엄한 심판을 받을 첫째 가는 처단 대상으로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