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인양 이후] 鄭총리 담화 발표 30분전 北관련 내용 모두 삭제

[천안함 인양 이후] 鄭총리 담화 발표 30분전 北관련 내용 모두 삭제

입력 2010-04-26 00:00
업데이트 2010-04-26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애도기간 공무원 근조리본 패용

“순국한 용사들은 미처 푸른 꿈을 다 펼쳐 보이지 못한 채… 차갑고 어두운 조국의 바다에서… 마지막 눈을 감아야 했던… 대한의 아들입니다.”

이미지 확대
정운찬(오른쪽 앞) 국무총리와 김태영(총리 오른쪽) 국방장관 등 국무위원 들이 25일 오후 평택 해군 제2함대 체육관에 마련된 천안함 희생자 합동분향소에 헌화 분향한 뒤 유족들의 손을 잡고 위로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정운찬(오른쪽 앞) 국무총리와 김태영(총리 오른쪽) 국방장관 등 국무위원 들이 25일 오후 평택 해군 제2함대 체육관에 마련된 천안함 희생자 합동분향소에 헌화 분향한 뒤 유족들의 손을 잡고 위로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5일 해군 초계함 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던 정운찬 국무총리는 제대로 말을 잇지 못했다. 희생장병을 언급하는 순간 끝내 참았던 눈물이 터져나왔다. 정 총리 뒤로 침몰 직전의 늠름한 천안함 772호의 사진이 태극기를 배경으로 뚜렷이 눈에 들어왔다.

정 총리는 낮 12시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3층 브리핑룸에 김태영 국방부 장관,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김양 국가보훈처장, 권태신 국무총리실장 등 관계장관 4명과 검은 넥타이에 근조 리본을 달고 들어섰다. 이어 정 총리는 ‘천안함 사고와 관련해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이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장례는 유가족들의 뜻에 따라 오늘부터 29일까지 해군장으로 엄수하겠다.”고 말했다.

당초 이명박 대통령이 할 것으로 예상됐던 담화문 발표는 통상 관례와 원인규명 등이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총리 담화로 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천안함 사건 최종 결과가 나오면 직접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는 담화문에서 장병들의 숭고한 헌신에 경의를 표하고 구조요청 중지 등 구조자 수색과정에서 어려운 결단을 내려줬던 유가족들에게 존경과 감사를 표현했다. 정 총리는 또 천안함 인양작업을 돕다가 귀항 중 침몰한 금양 98호에 대해서도 “금양호 선원들의 희생 역시 결코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힘줘 말했다.

특히 정 총리는 “정부는 정부대로 사고원인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철저히 밝혀내겠다.”면서 “조사결과에 따라 결연한 자세로 엄중한 조처를 취할 방침”이라고 했다. 이번 사고와 관련, 군 당국에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도 내보였다.

정 총리는 “국가안보태세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우리 군에도 책임을 물어야 할 일이 있다면 엄정히 물을 것”이라며 “장병들의 안전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사기진작을 위한 종합대책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정 총리는 “정부는 이 시대, 이 땅의 영웅들이 몸으로 보여준 숭고한 애국정신을 결코 헛되이 하지 않겠다.”면서 “우리 국민들 가슴속에서 영원히 살아 숨쉬도록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당신들을 기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담화문에는 북한 관련 언급들이 발표 30분을 남겨 놓고 모두 삭제됐다. 원인규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북한 반발 등 정부 측 부담을 덜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발표 직전 배포된 담화문에는 “날카롭게 찢겨나간 함수의 가장자리는 우리 국토를 할퀴고 간 냉엄한 분단의 현실을 상기시킨다.”면서 “우리가 슬픔에 젖어 있는 순간에도 독도에 대한 망발을 거듭하는 일본과 금강산 관광지구 내 민간자산까지 동결하겠다는 북한, 그 중간이 오늘의 대한민국 좌표”라고 적혀 있다.

정 총리는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뒤 곧바로 국무위원들과 함께 순국 장병들의 빈소가 차려진 평택 제2함대사령부를 방문, 조문하고 유가족들을 위로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국가 애도기간으로 지정된 천안함 희생장병 장례기간(25~29일) 동안 모든 공무원들에게 검소한 복장에 근조(謹弔) 리본을 달도록 했다. 중앙, 지방 등 전 행정기관에 체육행사, 축제 등을 자제토록 했다. 국가 애도의 날인 29일에는 전국 관공서 등 공공기관에 조기를 게양하고 오전 10시 사이렌을 울려 1분간 추모 묵념을 하도록 조치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10-04-26 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