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국가유공자 ‘정부 무한책임’ 강조

李대통령, 국가유공자 ‘정부 무한책임’ 강조

입력 2010-06-06 00:00
업데이트 2010-06-06 14: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명박 대통령이 6일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나라를 위해 희생한 사람들에 대한 ‘평생 책임’을 약속했다.

이미지 확대
李대통령 추념사  이명박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55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은 정부가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李대통령 추념사
이명박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55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은 정부가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가 유공자와 유가족들에 대해 정부가 존재하는 한 마지막까지 정당한 물적.정신적 보상을 다 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는 식민지 시대와 내전의 참화를 딛고 국가 발전을 이루는 데 희생한 독립운동가,참전 사망·부상자 등이 제대로 된 보상과 대우를 받지 못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이 대통령의 소신이 담긴 메시지로 알려졌다.

 특히 이 대통령은 국가와 국민 전체를 위한 개인의 희생이 정당하게 보상받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야만 국정 목표인 ‘선진일류국가’ 달성이 가능한 것으로 믿고 있다고 한다.

 아울러 이날 메시지는 천안함 사태 이후 조성된 안보 위기 상황에서 국민들의 애국심을 북돋우고 내부 단합과 국민 통합을 유도하려는 의미로 풀이된다.

 천안함 침몰이 북한 소행이라는 정부 발표를 신뢰하지 못하는 일부 국민이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을 고려,대한민국의 고도성장.발전은 순국선열 및 유공자들의 희생과 국민의 일치단결이 없었다면 불가능했다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이는 이 대통령이 “우리 국민은 국난이 닥칠 때마다 단결해서 이겨내는 투혼을 발휘했다”고 강조한 대목에서 잘 드러난다.

 이 대통령은 또 임진왜란 행주대첩 당시 치마에 돌을 담아 날랐던 부녀자들,국채보상운동에 참여했던 민초들,1997년 외환위기 당시의 ‘금모으기 운동’,지난해 금융위기 때의 일자리 나누기 등을 ‘나라 사랑’의 예로 든 뒤 이를 천안함 사태에 대한 국민적 애도 분위기와 연결지었다.

 이와 함께 유관순 열사,안중근 의사,한국전 당시 ‘육탄 10용사’,낙동강 전선의 학도의용군 등을 ‘불멸’로 명명하기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순국선열과 국가유공자들의 희생에 보답하는 길은 나라를 지키고 경제를 살려 대한민국을 선진국으로 만드는 것뿐이라는 게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