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의혹 정치권 파문 확산] 與의원 가족까지 손뻗쳐? 여권내 권력투쟁 재점화?

[사찰의혹 정치권 파문 확산] 與의원 가족까지 손뻗쳐? 여권내 권력투쟁 재점화?

입력 2010-07-23 00:00
업데이트 2010-07-2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리실 지원관실 남경필의원 부인 사찰의혹 사실로

국무총리실 공직자윤리지원관실에서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의 부인을 사찰했다는 의혹이 드러나면서 이른바 ‘영포게이트’로 불거진 여권 내 권력투쟁 양상이 재점화될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이 22일 총리실 윤리지원관실의 사찰 의혹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여의도 당사 기자실로 들어서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이 22일 총리실 윤리지원관실의 사찰 의혹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여의도 당사 기자실로 들어서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특히 윤리지원관실이 남 의원 부인의 형사사건에 대한 탐문을 벌인 시점이 공교롭게도 남 의원이 지난 2008년 총선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에게 불출마를 요구하던 때라 연관성이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남 의원은 22일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기본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일어났다.”면서 “이 사건은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국가 존립의 문제, 그리고 정부에 대한 신뢰의 문제인 만큼 어떤 선에서 누구의 지시에 의해 이런 불법사찰이 벌어졌는지, 얼마나 광범위하게 했는지 검찰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남 의원은 사찰을 당한다는 느낌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나와 주변에 대해 근거 없는 얘기가 정보지 등에 떠다니고 정치권에서 회자됐는데, 굉장히 악의적인 얘기도 많이 나와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을 했다.”면서 “사건이 불거졌을 때, 아마 (2008년) 6~7월쯤 이상한 점을 느꼈다.”고 구체적인 시기를 떠올렸다.

이상득 의원을 공격한 데 대한 보복성 사찰이 이루어졌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내가 판단할 몫은 아닌 것 같고, 그런 부분까지 포함해서 모두 검찰에서 수사하는 게 옳다.”면서 “국민들이 그런 의혹과 의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와 대통령, 한나라당을 위해서도 그런 부분에 대해서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 의혹이 말끔히 해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저를 사찰한 것도 아니고, 아내를 사찰했다고 하니까 더욱 화가 많이 난다.”면서 “일반인 사찰에 이어 국회의원 가족에 대한 사찰까지 있었다는 것은 그냥 넘어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거듭 목소리를 높였다. 부인과 관련된 형사사건에 대해서는 “아내가 사업을 하는 중에 형사소송이 걸린 게 있었는데 2005년과 2009년에 모두 무혐의 처분된 사건”이라면서 “당시 고생을 많이 했는데 그런 부분을 밝히는 게 검찰의 역할”이라고 지적했다. 남 의원의 부인은 강남의 한 백화점에서 귀금속 점포를 운영하다가 적자로 동업자와 틀어지자 2007년에는 횡령 혐의로, 2009년에는 사기 혐의로 각각 고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향후 대응 수위에 대해서는 “검찰 수사과정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을 아끼면서도 “정태근·정두언 의원 등 동료의원들과 상의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지 진지하게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남 의원은 기자간담회에 앞서 “고분고분하게 정치를 하지 않은 아들과 남편을 둔 어머니와 아내에게 송구스럽다.”면서 “제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는 사람은 아니겠지만 어떤 사찰이든 뒷조사든 전혀 무섭지 않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강용석 의원의 성희롱 파문과 7·28 재·보선 등으로 당이 어려운 만큼 말을 아끼겠다.”고 선을 그었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0-07-23 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