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사이버테러 국제기구 통해 대응

해외 사이버테러 국제기구 통해 대응

입력 2011-05-12 00:00
업데이트 2011-05-12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앞으로 해외로부터의 사이버 공격에 대해서는 외교 안보 문제로 격상시켜 국제기구를 통해 대응하게 된다. 또 사이버 위협에 대해 범정부적으로 총괄 대응할 수 있는 일원화된 체계를 구현하는 등의 ‘사이버 안보 마스터플랜’이 수립된다.

정부는 11일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주관으로 기획재정부, 외교통상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14개 부처 차관이 참여한 국가사이버안전 전략회의를 열고 사이버 안보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기로 했다. 국가사이버안전 전략회의는 2009년 ‘7·7 디도스(DDoS·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후 열렸다가 2년 만에 다시 개최됐다.

정부가 마스터플랜을 추진하는 데는 7·7 디도스 공격과 올해 ‘3·4 디도스 사태’에 이어 농협 전산망 해킹 등 사회 혼란을 일으키는 사이버 공격이 지속적으로 고조되고 있다는 점이 배경으로 작용했다. 특히 농협 전산 장애 등 금융권에 대한 공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금융 보안을 대폭 강화하고 외주 용역 보안관리 실태를 조사해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또 해외를 경유한 사이버 공격에 대해 발생 초기에서부터 국제기구를 통해 외교 안보적으로 대응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정부는 주요 기반 시설 등 경제·산업 전반의 사이버 보안 강화에 나서기 위한 전문 조직과 인력, 예산도 확충한다. 국민에게는 사이버 보안의식을 제고할 방침이다. 국정원은 14개 부처 공동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다. 부처별로는 세부 추진 방안을 마련해 7월 중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한 후 시행할 방침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사이버 공격에 대해 매우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 2년 만에 범정부적으로 전략회의를 열게 됐다.”며 “각 부처의 실무자급에서 구체적인 액션 플랜을 마련해 국가적 차원에서 보안을 재점검하고 강화하는 대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05-12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