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정치를 말한다] <4> 박선숙 민주당 의원

[내 정치를 말한다] <4> 박선숙 민주당 의원

입력 2011-05-30 00:00
수정 2011-05-30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약자 향한 연민으로 정치 입문 당 원하면 내년 총선 도전할 것”

나의 정치는 ‘약자에 대한 연민’으로부터 출발했다. 국회의원이 된 뒤 세 번째 해를 넘겼다. 학생운동, 민주화운동을 하던 시절이나 정치의 한복판에 있는 지금도 나는 스스로에게 묻는다. 진짜 약자 편에 서 있는지, 약한 사람들의 편에 서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지. 내 고향 경기도 포천은 마른 바람이 자주 불었다. 미군부대가 철수한 자리마다 곧바로 개발이 시작됐지만, 하나둘 늘어가는 빈 집을 보며 스산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터전을 잃고 가슴 먹먹했을, 약자에 대한 내 유년의 연민일 것이다.

이미지 확대
민주당 박선숙 의원이 29일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약자를 위한 정치’를 역설하고 있다. 박 의원은 “목소리가 큰 쪽으로 쏠려 있는 사회의 균형을 잡는 정치를 하고싶다.”고 강조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민주당 박선숙 의원이 29일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약자를 위한 정치’를 역설하고 있다. 박 의원은 “목소리가 큰 쪽으로 쏠려 있는 사회의 균형을 잡는 정치를 하고싶다.”고 강조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대학에서 야학을 했다. 두려웠던 ‘1980년 광주’를 안고 졸업한 뒤 구로 봉제공장에 취직했지만 옴을 얻어 석달 만에 그만뒀다. 한 선배가 “넌 귀부인이 되겠다.”고 했다. 비수처럼 꽂혔다. 그 칼을 마음에서 거둬내는 데 십년이 걸렸다. 무슨 일을 해도 목숨 걸고 하는 습관은 그때부터 생겼던 것 같다. 광주에 대한 죄책감은 나를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으로 이끌었다. 1987년 6월항쟁 때는 임신한 몸을 이끌고 거리에서 민주주의를 외쳤다. 암흑 같던 시절, 우리는 버티고 또 견뎌 냈다. 시대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자 했던, 이 역시 약자에 대한 내 청춘의 연민이었다.

1995년 김근태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의 권유로 지방선거대책위 부대변인을 맡으며 정치권과 인연을 맺었다. 꼬박 3년 반을 한 뒤 청와대 첫 여성 대변인이 됐다. 8년 반을 대변인·부대변인으로 지냈다. 여성 1호, 화려해 보이지만 정말 힘든 자리였다. 언젠가 이 자리에 올 후배들을 생각하며 사력을 다했다. 그런 나를 김대중 전 대통령은 “겉은 부드러운 버드나무 같지만 속에는 철심이 있다.”고 평가했다. 지금까지도 이 ‘철심론’은 든든한 울타리다.

청와대와 정부(환경부차관)를 거쳐 민주당 비례대표가 됐다. 억울해도 목소리를 못 내는, 조직돼 있지 않는 다수를 돕는 것이 정치가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했다. 정무위 활동을 하면서 이미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이들의 편에 선 정부와 많이 다퉜다. 보이스피싱 피해 구제, 카드수수료 인하, 채권추심법 개정 등 금융소비자의 권리를 찾는 데 노력했다.

나를 정치인 같지 않은 정치인, 권력의지가 없는 정치인이라고들 한다. 사실 ‘내 정치’를 꿈꾸지 않은 상태에서 정치권에 들어왔다. 무엇이 되겠다는 것보다 얼마나 쓸모있는 일을 하고 있는지가 내 정치의 시작과 끝이라고 여겼다. 그러고 보면 정치는 노력이 아니라 숙명 같은 일이 아닐까 싶다.

“여기 ‘국민’에선 저는 빼 주세요.” 15년 전 한 기자가 내게 한 말이다. 무심코 ‘국민’을 넣은 나의 논평을 들고 와서 말이다. 함부로 국민을 논하지 말라는 점잖은 충고에 어찌나 부끄러웠던지.

땀 흘려 일하면 나아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세상, 사람이 사람 대접을 받는 세상에서 살아야 한다고 믿었던 스무살 나의 바람은 쉰이 넘은 지금까지 계속된다. 가던 길을 끝까지 가 보자고 마음을 다잡는다. 그래야 새 길도 보이지 않겠는가.

■닮고 싶은 어머니…

이미지 확대
어머니는 홀로 두 자매를 키웠습니다. 쉽지 않은 삶이었지만 “책임지지 못할 일은 하지 말라.”며 질책할 만큼 당찬 분이었습니다. 새정치국민회의 부대변인 시절, 매일 새벽, 김대중 총재의 집이 있는 경기 일산을 향할 때면 곤히 잠든 초등학생 아들이 맘에 걸렸습니다. 말 없이 등을 두드려 주던 어머니. 아들 녀석이 올해 육군 병장으로 제대했습니다. 2002년 돌아가신 어머니는 지금도 세 살 터울 언니의 꿈에 나타나 “선숙이 밥 먹었냐.”라고 물으신답니다.

2011-05-30 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