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블로그] 성찰과 준비 없는 ‘민주당 486’

[여의도 블로그] 성찰과 준비 없는 ‘민주당 486’

입력 2011-07-23 00:00
업데이트 2011-07-23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때 ‘386’이라는 이름은 희망의 다른 이름이었다. 엄혹했던 군사 독재 시절, 최루탄 자욱한 거리에서 함께 손을 잡았고 뒷골목 허름한 막걸리 집에서 함께 눈물을 흘렸다.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6월 항쟁을 겪은 뒤 각 분야에서 조직 활동가로 일하며 그렇게 시대를 건넜다. 일찌감치 정치적 훈련을 받았고 기존 6·3세대나 4·19세대에 견줘 집단화된 세대이기도 하다.

2000년 16대 총선을 앞두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젊은 피 수혈론’이 등장했다. 386세대에 대한 기대였다. 물론 세대 교체 바람으로 자민련을 압박하고 내각제 논의를 잠재우려는 의도도 있었다. 386세대들이 전면에 나선 후부터 정치권 지형 개편 때마다 세대 교체 슬로건이 나부꼈다. 40대 기수론 등이다.

하지만 그때뿐이었다. 정계 개편이라는 힘의 논리에 빠졌다. 386정신은 정치에 투영되지 못했다. 오히려 계파 정치에 얽매여 행동대장에 그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0년 4·13총선 당시 ‘권노갑 장학생’ 명단엔 386정치인들의 이름이 줄줄이 올랐다. 지난 정권에서 국가보안법 폐지, 이라크 파병 철회를 외쳤지만 끝까지 소신을 지키지 못했다.

이쯤 되니 수혈이 아니라 흡혈이라는 말마저 나왔다.

민주당 486그룹인 ‘진보행동’이 차기 전당대회에서 복수 후보를 내기로 결정했다. 운영위원장인 우상호 전 의원은 “차기 당 대표는 총선의 얼굴이다. 구태의연한 사람은 안 된다.”면서 “한나라당 지도부에도 486 정치인이 3명이나 들어갔다.”고 말했다.

씁쓸했다. 한나라당의 세대 교체는 잇단 선거 패배와 지도부 공백 등 위기 타개책이다. 그러나 민주당은 상황이 다르다. 세대 교체가 필요한 배경부터 어긋난다.

프랑스 6·8혁명 세대들은 이후 녹색당을 통해 생태, 환경 등 새로운 진보적 가치를 만들었다. 세대 교체에 걸맞은 비전과 콘텐츠를 보여야 한다. 민주당 486그룹은 10여년 동안 정치 중심부에서 주류로 있었다. 성찰과 준비 없이 뛰어드는 당권 경쟁은 패거리 정치와 다를 바 없다.

구혜영기자 koohy@seoul.co.kr

2011-07-23 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