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全大… ’시민참여’ 대기록 속 폐막

민주 全大… ’시민참여’ 대기록 속 폐막

입력 2012-01-14 00:00
업데이트 2012-01-15 1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권 통합정당 출범 이후 첫번째 지도부를 뽑는 민주통합당의 당권레이스가 15일 전당대회를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전당대회에는 6명의 민주당 출신 후보와 3명의 시민통합당 출신 후보가 출마했고, 당대표 1명과 5명의 최고위원이 선출된다.

2년 임기의 신임 지도부는 내년 4월 총선과 12월 대선 승리라는 ‘절체절명의 임무’를 완수해야 한다.

이번 전대는 대한민국 정치역사상 유례없는 ‘시민참여 경선’으로 치러졌다.

민주당은 당원ㆍ시민 70%, 대의원 30%라는 경선룰을 확정지으며 시민의 참여비율을 높였고, 간단한 신원확인 절차만 거치면 누구나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했다.

시민들 역시 폭발적으로 반응해 총 64만3천명의 시민선거인단이 참여를 신청했고, 당원선거인단 12만7천여명과 전대 현장에서 투표를 하는 대의원 2만1천명을 합하면 총 선거인단은 79만2천여명에 달한다.

특히 국민의 의사를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당내 경선 역사상 처음으로 모바일 투표를 도입한 것은 일종의 ‘선거 혁명’으로 꼽힌다.

실제로 시민ㆍ당원 선거인단 76만5천명 가운데 78.1%에 달하는 59만8천여명이 모바일 투표를 신청했고, 일반적으로 20%대에 머물던 40세 미만의 선거인단은 이번에 44.4%로 급증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에 이어 민주당 전대까지 번진 돈봉투 의혹은 ‘흥행가도’에 찬물을 끼얹었다.

민주당 지도부는 사건이 불거지자마자 곧바로 진상조사단을 꾸려 조사를 벌였지만 아무런 증거를 찾지 못해 ‘꼬리자르기’란 비판에 직면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3명의 시민통합당 출신 후보들이 구(舊)민주당을 ‘구태정치’로 몰아붙이는 듯한 발언을 해 시민통합당 대 구(舊)민주당의 세력 대결 양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또 경선룰을 둘러싼 잡음은 선거 막판까지 그치지 않았다.

경선룰을 만드는 과정에서 일부 구(舊)민주당 출신 인사들이 대의원 참여 비율이 지나치게 낮다고 이의를 제기하는가 하면 본격적인 선거전 이후에도 스마트폰과 구형기종 사이에서 모바일 투표율의 차이가 크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또 일부 후보자들은 지역별 표의 가치를 조정한 결과 영남지역 한표의 가치가 호남지역 한표의 20여배에 달해 표의 등가성의 원칙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과 여권발 쇄신풍은 민주당 전대에 대한 관심을 떨어트렸다.

한편 민주당은 지난달 26일 예비경선을 통해 총 15명의 당권주자 가운데 9명을 추려냈고, 총 6차례의 TV토론회와 11차례의 지역 합동연설회를 개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