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탄도미사일 사거리 연장 협상 난항

한미, 탄도미사일 사거리 연장 협상 난항

입력 2012-06-04 00:00
업데이트 2012-06-04 11: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반도 전역 늘여야” vs “연장 신중해야”

한국과 미국이 사거리 300㎞로 제한된 우리 탄도미사일 사거리를 연장하는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4일 “미사일 사거리 연장에 관한 실무적 협의가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면서 “이달 내 합의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한쪽에서는 한반도 전역을 커버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다른 쪽(미국측)에서는 연장 문제에 신중해야 한다며 반대하고 있다”면서 “이견을 좁히기 위한 실무 협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소식통은 “실무적 차원에서 타결될 문제가 아닌 것 같다”면서 “양국 최고 정책결정권자 차원에서 합의점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해 실무협상이 쉽지 않음을 시사했다.

이달 중순 미국 워싱턴에서 열릴 양국 외교ㆍ국방장관이 참석하는 ‘2+2회담’에서 합의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에 대해서는 “의제로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국방부는 일부 언론에서 양국이 미사일 사거리를 550㎞로 연장하는데 합의했다고 보도하자 “아직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양국은 (미사일 사거리 연장과 관련해)실무 협의를 해오고 있는데 현재까지 이에 관한 결정 사항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양국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고 이에 대해 우리의 미사일 능력을 강화하는데 공감하고 있다”면서도 “이달 중순에 열린 2+2회담에서도 의제로 아직 확정된 바는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