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출연기관 무분별 신설..10년새 3.5배”

“지자체, 출연기관 무분별 신설..10년새 3.5배”

입력 2012-06-06 00:00
업데이트 2012-06-06 14: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권익위, 행안부 기관 평가 권고

지방자치단체가 출자ㆍ출연기관을 무분별하게 신설해 예산 낭비 우려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가 6일 공개한 조사 결과 지난 1999년 141개였던 각 지자체 산하 출자ㆍ출연기관은 2012년 현재 492개로 3.5배가 늘었다.

이 가운데 정원 10명 이하인 소규모 기관이 43%(211개)로 효과적인 업무 수행이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이 기관들이 한 해 사용하는 예산은 5조9천964억원에 달하지만 감독기관은 현황 파악조차 제대로 하지 못해 예산 낭비와 각종 인사비리가 만연한 것으로 권익위의 실태 조사 결과 드러났다.

이는 지방공기업의 설립 인가권이 행정안전부에서 지자체로 이양되면서 설립통제 장치가 없어진 게 주요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권익위는 행안부 주관으로 경영평가를 받도록 하고, 부패가 잦거나 경영 부실 평가를 받으면 임직원을 해임하거나 법인을 청산하는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하도록 권고했다.

또 기능이 중복되고 규모가 작아 효과적인 업무 수행이 불가능하거나 정책환경 변화로 존재 가치가 없으면 통폐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안 마련키로 했다.

이를 위해 출자ㆍ출연기관은 임직원 채용 시 공개경쟁을 의무화하고, 행안부에는 모든 기관의 채용계획을 종합적으로 공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토록 했다.

지자체 산하 출자ㆍ출연기관은 지방의료원, 지역특화센터, 산업진흥원, 테크노파크, 문화재단, 여성가족개발원, 장학재단, 인재육성재단, 교통연수원, 철도사업 등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