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근 “표본수 수백만이면 역선택 효과 없다”

문성근 “표본수 수백만이면 역선택 효과 없다”

입력 2012-06-18 00:00
업데이트 2012-06-18 16: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복등록 무효화시 역선택 가능성 없다”

민주통합당 문성근 전 대표대행은 18일 새누리당 일각에서 제기하는 오픈프라이머리의 ‘역선택’ 문제와 관련해 “표본수가 수백만명이면 역선택 효과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특히 ‘여러 정당이 같은 성격의 의사결정 또는 경선을 할 때 중복등록자는 무효화한다’는 조항을 신설하면 역선택의 가능성은 없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새누리당이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할지, 모바일 투표를 채택할지는 그들의 자유”라며 “이를 채택하지 않으면 모바일 등록+현장투표, 현장등록+현장투표 등의 방식이 남지만 진입장벽이 높아져 참여율이 현저히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행은 “새누리당이 모바일 방식에 합의할 것을 기대하지만 ‘현장등록+투표제’를 고집한다 해도 여야가 등록된 선거인단을 중앙선관위에 제출해 중복등록자를 걸러내면 역선택은 방지될 것”이라며 여야 모두의 적극적인 자세를 촉구했다.

그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 대해 “모바일 완전국민경선 방식이면 어떤 후보에게도 유불리 없이 전 국민의 뜻이 가장 정확히 반영될 것”이라며 “결심 과정에서 이 제안을 함께 고려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전 대행은 “2002년 대선때 국민참여경선인단에 200만명이 등록했으나 모바일국민경선제도가 합의, 도입되면 400만~500만명이 등록할 것”이라며 “이를 느슨한 네트워크로 묶어내 시민 속에 뿌리내린 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