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일반 주민에도 금강산 관광 허용”

“北, 일반 주민에도 금강산 관광 허용”

입력 2012-06-21 00:00
업데이트 2012-06-21 09: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 당국이 남한 관광객의 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이후 북한 일반 주민에게 금강산 관광을 단계적으로 허용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북한 주민의 말을 인용해 21일 보도했다.

북한은 그동안 외화벌이 차원에서 중국인을 중심으로 외국인에게만 금강산 관광을 허용해왔다.

최근 중국을 방문한 함경남도 주민 민모씨는 RFA에 “요즘 당국에서 각 기업소, 단위별로 금강산관광단을 조직해 금강산 관광을 다녀온다”며 “지난해 가을부터 금강산 관광이 일부 있었지만 본격적으로 (관광단이) 많이 조직된 것은 올봄 이후”라고 전했다.

민씨는 “함경남도 기업소의 경우 보통 2박3일 일정에 1인당 관광요금은 미화로 30∼50달러 정도”라며 “교통수단은 기업소 소속의 대형버스를 이용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강산 관광을 가는 사람들은 주로 기업소 간부나 지방 간부,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일반인들이며 특별한 자격제한이 있는 것 같지는 않다”며 “관광단을 꾸리는 데 인원이 모자라 돈만 내면 아무나 갈 수 있게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민씨는 “농촌동원 기간에도 금강산 관광이 조직되는 것을 보면 아마도 위에서 금강산 관광을 내려 먹이는 것 같다”며 “집단체조 아리랑 공연 때 관객이 부족하면 강제로 관람객을 할당해 동원한 것과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대북소식통들은 “북한 당국이 그동안 중국인을 중심으로 외국인의 금강산 관광유치에 열을 올린 것은 남한으로부터 몰수한 관광 시설물을 최대한 활용해 외화를 벌어들이기 위한 목적”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