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호남대표론 논쟁 점화

민주 호남대표론 논쟁 점화

입력 2013-03-28 00:00
업데이트 2013-03-28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통합당이 5·4 전당대회를 앞두고 ‘호남 대표론’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당 대표 출마자들이 호남 대표론을 들고 나와서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27일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우리 당이 호남 지지 세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그렇게 말씀하실 순 있지만 우리 당이 결코 호남을 대표하는 정당인 것은 아니다”라면서 “우리 당은 중산층과 서민을 대표하는 정당이기 때문에 전국적인 지지를 통해 당 대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당내에서 일고 있는 호남 대표론에 대한 반론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다.

박 원내대표가 이런 주장을 한 것은 5·4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강기정, 이용섭 의원이 호남 대표론을 들고 나왔기 때문이다. 강 의원은 당 대표 출마 선언에서 “전국 정당화를 이룬다는 이유로, 탈호남을 위한다는 이유로 호남의 정치력이 매우 취약해졌다”고 말했다. 이 의원도 “민주당에 대한 호남의 지지를 회복하고 그 지지를 전국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대표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두 후보의 호남 강조는 전대 방식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민주당은 최근 5·4 전대 방식을 ‘대의원 50%+권리당원 30%+여론조사 20%’로 결정했다. 특히 권리당원은 지역별 비율을 조정하지 않기로 했다. 그동안 민주당은 당세가 약한 영남권을 육성하기 위해 당직선거에서 인구 비례에 따라 득표율을 보정했다. 텃밭인 호남의 권리당원 수는 영남의 20~30배에 달하기 때문이다.

당 일각에서는 호남 대표론에 대한 부정적 기류도 있다. 호남 대표론이 이른바 ‘반(反)김한길 연대’를 덮기 위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호남 대표론으로 비난은 받지 않으면서 주류 후보들이 단일화할 수 있는 명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이 비공식적으로 광주 700명, 전남 1099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광주·전남을 대표할 인물을 묻는 질문에 광주 응답자의 7.4%, 전남의 4.7%가 강 의원을 꼽았다.

김효섭 기자 newworld@seoul.co.kr

2013-03-28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